유류화재 소화방법
1. 화재 분류 구분 A급 (일반화재) B급 (유류화재) C급 (전기화재) K급 (주방화재) 소화효과 목재, 종이, 섬유 등 휘발유, 등유, 윤화유 등 분전반 등 전기기계기구 식용유 ※ 연소의 3연소 : 가연물 + 산소 + 점화원 2. 주방 식용유 화재 ① 위험성 : 식용유는 한번 불이 붙으면 표면의 화염을 제거하여도 기름의 온도가 발화점 이상으로 이미 가열된 상태라 재발화의 가능성이 높음 […]
1. 화재 분류 구분 A급 (일반화재) B급 (유류화재) C급 (전기화재) K급 (주방화재) 소화효과 목재, 종이, 섬유 등 휘발유, 등유, 윤화유 등 분전반 등 전기기계기구 식용유 ※ 연소의 3연소 : 가연물 + 산소 + 점화원 2. 주방 식용유 화재 ① 위험성 : 식용유는 한번 불이 붙으면 표면의 화염을 제거하여도 기름의 온도가 발화점 이상으로 이미 가열된 상태라 재발화의 가능성이 높음 […]
구멍 뚫린 바늘로 완성된 주사기 주사기 사용의 역사를 살펴보면, 기원후 1세기에 로마 의사 아우렐리우스 코넬리우스 켈수스가 피스톤 주사기 형태의 도구로 병을 치료했다는 기록이 남아있고, 9세기에는 아랍의 외과의사가 유리관을 이용해 주사기를 발명했다고 합니다. 17세기 이전에는 상아, 뼈, 은으로 만든 주사는 관장용이나 요도 주사로 사용했고, 동물 가죽으로 정맥 주사를 놓았으며, 속이 빈 새의 뼈나 새의 깃털
가축 살처분은 조류독감이나 구제역 등 가축전염병으로 인한 피해 방지를 위해 소각, 매립 등의 방식으로 처분하는 것으로 주로 소, 돼지, 가금류 등 농장에서 키우는 동물을 대상으로 이루어집니다. 가축 살처분으로 인해 토양오염, 지하수 오염 등 2차 환경오염 문제가 대두되며 이는 우리의 안전한 삶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 인수공통감염병이라서 더 위험한 가축 전염병 가축 전염병은 가축전염병예방법상 제1종 법정전염병으로
수소는 직접 연소시키거나 연료 전지의 원료로 활용하면 전기로 쉽게 전활할 수 있고, 가스나 액체 상태로 쉽게 수송하고 저장할 수 있습니다. 수소는 연소하기 쉬운 기체로 발화온도가 낮아 정전기 등에서도 쉽게 화재가 발생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수소의 성질 수소는 우주 전체 물질 질량의 약 75%를 차지하는 가스로 공기보다 약14배나 가볍습니다. 수소는 가장 가벼운 가스로 공기 중에서
목재 가공용 둥근톱을 사용할 때 필수 안전수칙 [참고자료, 작업 전 안전점검 목재가공용 둥근톱] 목재 가공용 둥근톱은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기계로, 둥근톱에 전동기를 연결하고 고속으로 회전시켜서 목재를 직선으로 자르는 장비입니다. 톱날 접촉에 의한 베임 · 절단 사고, 목재의 반발로 인한 맞음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니 안전수칙을 꼭 지켜야 합니다. 톱날 접촉 예방 장치의 확인!!
안전을 위해 더 안전하게 사용해야 하는 전기충격기 최근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한 묻지마 칼부림, 살인 예고 사건이 급증하면서 호신용품으로 사용할 ‘전기충격기’에 관심이 높아 졌습니다. 안전을 위한 용품이지마, 나만의 안전과 타인의 안전을 위해 더 안전하게 사용해야 하는 전기 충격기의 원리를 알 수 있습니다. 변압기의 원리로 작동하는 ‘전기충격기’ 호신용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전기 충격기’는 강한 전압으로 사람을 감전시켜 고통과
방폭제품의 인증대상 분류는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인화성 액체의 증기나 인화성 가스 또는 분진 등이 제조, 취급 또는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구분되고 있습니다. 관련 법규 제311조(폭발위험장소에서 사용하는 전기 기계·기구의 선정 등) ① 사업주는 제230조제1항에 따른 가스폭발 위험장소 또는 분진폭발 위험장소에서 전기 기계·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산업표준화법」에 따른 한국산업표준에서 정하는 기준으로 그 증기, 가스 또는 분진에 대하여 적합한 방폭성능을
11. 방폭 전기기기 선정시 고려사항 • 비위험장소 기기동작 중 또는 어떤 기기로부터 인화성 혼합물이 아주 희소하게 누출될 경우에 폭발위험지역으로 구분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경우는 폭발성 물질이 취급되고 저장되더라도 비위험지역으로 구분 될 수 있다. 환기가 충분한 장소에 설치되고 인화성 또는 가연성 액체가 간헐저긍로 사용되는 배관으로 적절한 유지, 관리가 이루어지는 폐쇄배관 주위 환기가 불충분한 장소에
분진 폭발위험장소 구분 – Chapter #3 더 읽기"
말이 끌던 소방차의 역사 최초의 소방차는 영국에서 탄생했습니다. 1829년 영국의 브라이스웨스트와 엘릭슨이 증기소방 펌프를 제작한 것입니다. 이 펌프는 무게 때문에 말이 끌어야 했고, 30m 높이까지 방수가가능했다고 합니다. 1906년에는 마차와 소방차를 연결해 불을 껐습니다. 증기 소방마차가 보일러에서 발생된 수증기를 907kg짜리 실린더로 보내면, 이 압력으로 소방관들은 소화전이나 저수지 등의 수원에서 물을 빨아들이고 소방호스에 압력을 가해 물을 뿜어
불꽃처럼 뜨거운 열정으로.. 최무선 (1325~1395) 과거 강력한 무기로 사용되던 화약은 교통, 건설, 산업 등 사회 인프라 체계 전반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화약 기술의 발전, 그 시작에는 20년 년간 끝없는 실패 끝에 최초로 화약 제조에 성공한 ‘최무선’의 뜨거운 열정이 있습니다. 화약(火藥)을 한자로 그대로 풀이하면 ‘불이 붙는 약’입니다. 중국의 연단술사들이 불로장생을 위한 약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발명되었기에,
50인 미만 사업장도 ‘안전관리자’ 채용 의무화 산업현장 ‘모시기 경쟁’… 연봉 2천만원 뛰기도 50인 미만 사업장에서도 중대재해처벌법이 적용, 소규모 기업들도 ‘안전관리자’ 채용이 의무화 되면서 이들의 몸값이 천정부지로 뛰고 있다. 오는 27일부터 50인 미만 사업장에도 적용되는 중대재해처벌법을 보면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의 일환으로 각 사업장에 안전관리자를 의무 채용해야 한다. 특히 근로자가 중대 산업재해로 다치거나 숨졌을 때 안전관리자가 채용되어 있지
중처법 확대 적용 초읽기… ‘안전관리자’ 몸값 천정부지 더 읽기"
추운 날씨에 전기장판이나 전기방석 등을 사용하는 소비자가 많아지면서 이로 인한 안전사고 역시 매년 늘어나고 잇습니다. 1월~3월 사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전기장판류 사고 화재, 화상 피해 가장 많아 소비자 ㅁ 씨의 경우 지난해 11월 전기장판을 저온상태에서 이용하던 중 온도조절기에서 화재가 발생했고, 온수매트를 사용하던 ㅍ씨는 같은 달 온수통에서 뜨거운 온수가 밖으로 뿜어져 나오는 피해를 입었습니다. 소비장 ㅂ씨는 음주
산업안전보건교육원 – https://edu.kosha.or.kr/ 2024년 상반기 교육원 교육일정 안내 교육 신청 방법이 2024년부터 변경되었습니다. ■ 내용 2024년 상반기 교육원 교육일정에 대해 안내드립니다. ○ 접수 대상 : 2024년 2월~7월 전문화교육, 직무교육, 성능검사교육 ○ 교육신청 접수 일정 – 전 과정 선착순 접수 : 교육시작일 기준 8주 전 월요일 09:00 선착순 접수 ex) 2024. 5. 8.(수) 교육시작 과정은 2024. 3.
안전보건공단 2024년 상반기 교육원 교육일정 안내 더 읽기"
구명조끼(Personal Flotation Device, PFD) 구명조끼는 물에 빠졌을 때 수면 위로 떠오르도록 도와줘 익사를 방지하는 보호장비 입니다. 고대 구명조끼 구명조끼의 역사는 고대 제국에서 시작되었답니다. 병사들에게 산양 가죽에 공기를 넣은 주머니인 ‘무스크스’를 지급해 바다에서 훈련할 때 사용했다고 합니다. 우리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구명조끼의 기원은 코르크나 나뭇조간으로 만들었던 구명조끼입니다. 1854년 영국 왕립구명정협회의 검사관인 캡틴 워드가 고안했던 코르크
영·유아 가구 넘어짐 사고 서랍장 오르다 “꽈당” 기억에 남은 뉴스 중에 만 4세의 여아가 서랍장 위의 과자를 꺼내기 위하여 서랍을 밟고 오르던 중 서랍장이 몸쪽으로 쓰러지는 사고가 있습니다. 아이의 발가락이 절단되었고 오랜 시간 병원에 내원하며 치료를 받아야 했습니다. 이와 비슷한 가정 내 가구 전도(넘어짐)로 인하여 어린이 안전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어 사용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가구
불을 사용하는 주방에서는 무엇보다 안전이 가장 중요합니다. 가스레인지 위, 냄비의 온도를 측정해 화재가 발생하기 전 자동으로 불을 꺼주는 ‘과열방지장치’는 주방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참고자료, 생활밀착 가스레인지용 과열방지 및 gas valve에 관한 KS표준 및 ISO 표준개발 최종보고서, 산업통상자원부 모든 가스레인지, 과열방지기가 있다 라면을 먹기 위해 냄비에 물을 끓이다가 그만 깜빡 잠이 들었다면, 어떻게
분진 폭발위험장소 구분 Chapter #1 Chapter #2 Chapter #3 1. 분진 폭발 매커니즘 6. 용어의 정의 11. 방폭 전기기기 선정시 고려사항 2. 분진 폭발의 조건 7. 위험장소 구분 -누출원 12. 분진폭발 위험장소 3. 분진의특성 8. 위험장소 구분 – 위험장소 13. 분진폭발 위험장소의 설정 – CASE 1 4. 분진의 위험성 9. 위험장소 구분 – 등급 구분
분진 폭발위험장소 구분 – Chapter #2 더 읽기"
분진 폭발위험장소 구분 Chapter #1 Chapter #2 Chapter #3 1. 분진 폭발 매커니즘 6. 용어의 정의 11. 방폭 전기기기 선정시 고려사항 2. 분진 폭발의 조건 7. 위험장소 구분 -누출원 12. 분진폭발 위험장소 3. 분진의특성 8. 위험장소 구분 – 위험장소 13. 분진폭발 위험장소의 설정 – CASE 1 4. 분진의 위험성 9. 위험장소 구분 – 등급 구분
분진 폭발위험장소 구분 – Chapter #1 더 읽기"
당뇨병은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 동반 질환의 비율이 높고 심혈관 질환, 신장 질환 등 합병증의 위험이 크기 때문에 혈당, 혈압 등을 적정 수준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당뇨병 관리에는 필수인 ‘혈당측정기‘는 어떻게 혈당을 측정하는 걸까요? 당뇨병 환자에게 중요한 혈당 측정 대한당뇨병학회 발표자료 ‘당뇨병 팩트 시트 2020’에 따르면, 우리나라 30세 이상 6명 중 1명이 당뇨병 환자!! 우리 몸은 음식을
교통 신호등의 역사 세계 최초의 신호등은 1868년 영국 런던 웨스트민스터에서 제일 처음 사용한 수동식 신호등이었습니다. 철도 정비사 ‘존나이트’는 원판에 둥글게 구멍을 뚫어서 정지 표시인 빨간색과 주의 표시인 초록색을 넣고 가스등을 달았다. 그러나 교통경찰이 직접 손으로 조작해야 했고, 가스 누출로 폭발이 자주 발생해 안전사고 문제로 사라지게 되고 그 자리를 촛불 신호등과 석유등이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1900년대에 들어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