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ssy

Stationary Equipment

Stationary Equipment (고정 기기장치)

▣ Stationary Equipment(고정 기기장치)의 정의 각종 프로세스에서 취급되는 물질(기체, 액체, 고체)의 저장, 혼합, 분리, 반응, 열 전달 등의 기능을 가진 밀폐 또는 개방 용기로써 내압, 외압, 또는 대기압을 받는 기기장치의 총칭 압력용기(Pressure Vessel), 열교환기(Heat Exchanger), 구형탱크(Ball Tank or Spherical Tank) 등 포함 가열로도 고정 기기장치에 속하나 관리 편의상 별도 취급   . ▣  Stationary Equipment(고정 기기장치)의 […]

Stationary Equipment (고정 기기장치) 더 읽기"

기계장치 분류

플랜트 및 기계장치 분류

▣ 플랜트 종류   . ▣ 화공 플랜트 Gas&Oil : 원유 생산, Gas Separation 등 Oil Refinery Petrochemical Chemical Fertilizer LNG, GTL, etc.   . ▣ 발전 플랜트 Thermal Power Plant 화석연료 Oil, LNG, 석탄 원자력 핵 분열 시 발생 에너지 Biomass 각종 동식물 잔해물 – 사탕수수대, 동물 배설물 등 폐 가스 Energy Recovery 의미 복합 기타열원 태양열, 지열 등

플랜트 및 기계장치 분류 더 읽기"

기계설계 성과품

기계설계 성과품

▣ 기계시방서 (Mechanical Equipment Specifications) – 기계를 구매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술적 요구 사항을 서술한 것 – Account Code에 따라 분류된 모든 종류의 Equipment에 대하여 설계기준을 제시한 서류 석유화학, 일반화학, 유틸리티, 산업기계 분야별로 차이가 있음 회사의 기계엔지니어링 능력을 가늠하는 잣대가 됨 Specialty에 따라 분류(Stationary / Rotating / Packaged Item)하여 관리함 유지 보수된 시방서는 개별 프로젝트 실정에 맞추어

기계설계 성과품 더 읽기"

플랜트 기계설계

플랜트 기계설계 특성

▣플랜트 엔지니어링의 전문성과 의존성 플랜트 건설을 위한 엔지니어링 부서 구성 – 전문 설계그룹으로 구성되어 있음 공정(Process) 기계장치(Mechanical Equipment) 배관(Piping) 계기 및 제어(Instrumentation and Controls) 전기(Electrical) 토목/건축/구조(Civil/Architectural/Structural) 등 각 전문분야의 성과물 -다른 전문 분야의 기초 정보가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서로 의존 관계에 있음 -미리 정립된 검토과정을 거쳐 구매 조달용 또는 현장 시공용으로 통합되어 사용하게 됨 ※ 적절한

플랜트 기계설계 특성 더 읽기"

플랜트 기계설계

플랜트 건설사업과 기계설계

▣ EPC Contracting Business의 성립 투자자 (사업주) – 플랜트 운영(생산판매)으로 수익 창출 추구 – 단기간 내 적은 비용으로 성능 우수한 플랜트 완성 기대 플랜트 건설 – 상이한 업무 프로세스 (설계, 구매조달, 건설, 시운전) – 각 업무 프로세스의 전문성, 다양성, 기술의 고도성 및 관계회사 존재 사업주는 플랜트 운영업무가 본업이므로 플랜트 건설 능력 부족 -> 플랜트 건설의 

플랜트 건설사업과 기계설계 더 읽기"

배관 응력 해석

배관 응력해석 수법 및 응용

▣ 배관계통 응력의 구분 1) 1차 응력 (Primary Stress) 배관계 내부 및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과 Moment에 의해서 유발되는 응력으로 내압 및 자중, 바람 등에 의해서 생기는 Bending Stress 외 Torsional Stress 등 1차 응력에 대한 안전여부는 배관 재료의 허용응력 (Allowable Stress)과 비교하여 판정 . 2) 2차 응력 (Secondary Stress) Pipe Line 내를 흐르는 유체의 온도에

배관 응력해석 수법 및 응용 더 읽기"

배관 응력 해석

배관 응력해석의 개요 및 목적

▣ 배관 응력해석 배관계통의 설계 안전성을 수치적으로 검증하고, 설계규정을 준수하며 배치 및 지지물의 위치나 형식, 설계요구 조건 등을 만족하는지를 규명 설계수명에 도달할 때까지 설계규격이나 사양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하중조건 하에서 허용응력 범위에 있는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수치적으로 증명 고온유체를 이송하는 배관계에 있어서는 열 하중에 의하여 발생하는 응력이 규정치 이내에 있어야 하고, 충분한 유연성을 지니도록

배관 응력해석의 개요 및 목적 더 읽기"

배관설계 적용 규격

배관설계 적용 규격

▣ 배관설계 계산에 적용하는 상용되는 표준 1) Piping Power Piping ANSI/ASME B31.1 Process Piping ANSI/ASME B31.3 Flanges ANSI, B16.5 2)  Pressure Vessels Unfired ASME, Sect. I & VIII, Div.1 Unfired Steam Boilers ASME, Sect. I Fired Steam Boilers ASME, Sect. I 3) Safety Relief Systems Safety Valves API RP520 and API RP521 Header ASME, Sect.

배관설계 적용 규격 더 읽기"

배관설계 기본요소

배관설계서 작성의 기본 요소

▣ 관의 호칭 및  Schedule 스케줄(Schedule) – 파이프 두께의 계열화는 1938년 ANSI가 스케줄 방식으로 발표 – 부식여유 및 나사 절삭여유, 두께공차 등 고려하여 제정 – 두께 산출 공식에 기초하여 SCH. No.를 정하고 Pipe 치수에 따라 두께를 정함 – 스케줄에 의한 No.는 사용압에 비례하며, 허용응력에 반비례한 숫자의 10배에 해당 – 사용압력 및 허용응력에 의해 관의 두께를

배관설계서 작성의 기본 요소 더 읽기"

배관 설계서 작성의 방법

배관 설계서 작성의 방법

▣ Line Schedule 배관계통의 공정에는 많은 Line과 기기의 연결로 되어있음 Line을 흐르는 유체도 여러 종류로 구분 유체별로 번호를 부여, 리스트화 한 것 유체형태, 온도, 압력, 보온유무, 두께, 운전조건 등 기입 각 Line에 대한 배관설계에 중요한 지침 배관설계서 이전에 작성 설계의 시작점과 끝점이기에 공정 설계팀의 협조 필수조건   . ▣ Plat Plan 공정에 대하여 필요한 모든

배관 설계서 작성의 방법 더 읽기"

배관 응력

배관 설계서 작성의 개요

▣ 배관설계 부서의 역할 해당 Project의 배관계통의 설계계산서 작성 요구되는 설계조건의 사양서 작성 배관계통의 응력해석 및 검토 선정된 기자재의 승인 및 Technical Evaluation (기술평가) . ▣ 배관설계 조직   . ▣ 배관설계의 정의 배관설계는 공정에서 규정한 절차에 따라 적절한 배관부품을 이용하여 기기와 기기를 연결해 나가는 설계과정을 총칭 기기들이 최상의 운전성능이 유지되고 Plant 를 효율적으로 운전하는데

배관 설계서 작성의 개요 더 읽기"

STEAM TRAP 기능

TRAPS

▣ STEAM TRAP의 사용 목적 – 증기와 응축수를 공학적 원리와 내부 구조에 의해 구별하여 자동으로 응축수를 배출시켜 효율적으로 증기를 사용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일정의 자동 Valve 형태 . ▣ STEAM TRAP 의 성능 수준 및 설계 품질 증기 공간 내에서 증기가 응축하여 발생된 응축수를 제거하고 증기의 누출은 없도록 설계 되어야 함 공기와 CO2 등 비응축성

TRAPS 더 읽기"

strainer 배관 이물질 제거

STRAINER (여과기)

▣  STRAINER 사용 목적 – 배관 속에 흐르는 유체의 불순물이나 공장건설 당시 배관 속에 들어있는 이물질 또는 오물찌꺼기를 제거하여 중요 설비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 . ▣ Y-Type Strainer . ▣ TEMPORARY STRAINER – 시운전 기간에 Pump나 Compressor Suction Line, Control Valve Inlet 및 기타의 기자재에 임시로 설치, 사용 후에 분리할 수 있는 Type   . ▣

STRAINER (여과기) 더 읽기"

valves

VALVES (2)

[CHECK VALVE와 PLUG VALVE] ▣ CHECK VALVE의 종류 1) Swing Type Disc Check Valves 2 2) Tilting Type Disc Check Valves 2 3) Lift Type Disc Check Valves 2 4) Screw Down Non-return Check Valves 2 5) Dual Plate (Butterfly) Check Valves 2 . ▣ Swing Type Disc Check Valves 2 체크밸브 중에서 가장 많이

VALVES (2) 더 읽기"

Valve 종류 기능

VALVES (1)

▣ VALVE의 의미 배관 또는 기기 사이에 장치되어 유체 차단 및 유량 조절하는 중요한 기계적 장치 통칭 유체에서 물리적으로 표현되는 압력, 온도 및 유체의 속도 즉, 유량을 조정하는데 사용 배관계의 유체 흐름을 각각의 공정에서 요구하는 유체의 물리적 조건과 양에 맞도록 각 제어단위의 마지막 단계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 가장 일반적이고 중요한 제어요소 (Control Component) . ▣

VALVES (1) 더 읽기"

GASKET

GASKET 및 BOLTS & NUTS

▣ GASKET 일반 누설방지장치 부품의 일종이며 압력용기, Flange, 기계요소의 고정 접합면에 Bolt 등으로 체결하여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유체의 종류, 압력 온도 등의 사용 상태에 따라 여러 종류의 형상, 재질 등이 사용 Flat Face : 저압용(16kg/㎠이하), Sheet Gastket (Full Face) Raised Face : 고온, 저압용 (63 kg/㎠이하), Sheet Gasket (Flat Ring), S/W Gasket Male &

GASKET 및 BOLTS & NUTS 더 읽기"

FITTING 종류

Fitting & Flange

▣ FITTING의 정의 및 분류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이며 내부가 공간인, Flowing Media 또는 Transiting Pressure를 Conveying 할 수 있는 일정한 길이를 갖추고 있는 관 배관부품의 설계 시 매우 중요한 요소 이음방법과 재질에 따라 분류하여 설계에 적용해야 함 ▣ FITTING의 종류 및 용도 BUTT WELD FITTING (B.W) : 90º Elbow, 45º Elbow, Weld Tee, Stub-In,

Fitting & Flange 더 읽기"

배관의 분류

P.M.C, Tube, & Pipe 개요

▣ P.M.C 정의와 개요 Piping Material Classification의 약어 배관자재 등급의 지정을 뜻함 해당 Project 의 Material Specification (자재사양서) 작성은 Material Slection(자재의 원재료 선정) 이후에 논의를 거쳐 진행해야 하는 매우 중대한 사안 ▣ P.M.C 및 P.M.S 작성방법 Purpose and Scope Codes, Standards and Regulations Units Piping Classification Standards For Ganerally Used Materials . ▣ 파이프의 정의

P.M.C, Tube, & Pipe 개요 더 읽기"

스팀배관

STEAM PIPING DESIGN CRITERIA

▣ General 1) 개요 설계 단계에서 증기나 물의 역류에 의한 터빈유입으로부터 증기터빈을 보호하기 위해 특별한 주의가 필요함 (발전소의 운전정지 원인이 됨) . 2) 적용 대상 Steam & Water Cycle의 설계요건을 따라야 하고, 추기 배관에 설치되는 배수 방식, 체크밸브 및 차단밸브의 정확한 숫자는 설계 대상 발전소의 P&ID에 따라서 설계해야 함 추기 배관의 밸브의 위치 추기 배관의

STEAM PIPING DESIGN CRITERIA 더 읽기"

배관응력 해석

배관 응력 설계 기준

▣ 배관응력 해석 및 지지물 설계 기준 개요 계통 흐름도(P&ID)에 따라 배관 배치시, 배관계의 유연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배관 및 지지물의 설계기준과 업무 수행절차를 기술하고 규정함 ▣  응력 해석 대상 및 기준 유체의 압력, 온도, 계통 중요성에 의해 배관 응력해석 대상기준을 적용함. 온도 적용 배고나계에 발생 가능한 최고 운전온도를 응력해석 시 반영 (대기온도 21) 1)

배관 응력 설계 기준 더 읽기"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