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fety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구성 운영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구성•운영 매뉴얼

개요 산업안전보건위원회는 사업장의 안전과 보건에 관한 중요 사항을 사업주와 근로자들이 함께 참여하여 심의•의결하는 회의체입니다. 중처법과 관계 중대재해처벌법은 경영책임자에게 종사자의 의견을 들어 재해예방에 필요한 개선방안을 마련하도록 하고 있으며, 산업안전보건위원회에서 사업 또는 사업장의 안전보건에 관하여 논의하거나 심의, 의결하는 경우 해당 종사자의 의견을 드르은 것으로 본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이 중처법에 따른 안전보건관리체계를 구축할 때,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통해서 근로자의 […]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구성•운영 매뉴얼 더 읽기"

전기화재 통계

전기화재의 분류

최근 10년간의 전기화재 분포 전기화재 발화원인별 현황    전기감전/화재 현황   화재원인별 분포 발화원인별 분석 월별 전기화재 분포   전기화재의 개요 전기에너지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기계기구 및 설비에서 발생한 화재 도체 중에 전류가 흐르면 발열 전선의 허용전류보다 큰 전류를 흘린 경우 발생된 J 열의 발산이 저하된 경우 배선 접속부의 접촉저항 증가 전선의 단락, 전동기의 구속운전 등

전기화재의 분류 더 읽기"

분진폭발 예방대책

분진폭발 방지 대책

분진폭발 분진폭발은 가스폭발에 비해 연소 속도가 느리고 폭발 압력은 작지만, 연소 시간이 길고 파괴력이 큽니다. 또한 연소한 분진의 팽창으로 압력이 상승해 연소 가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분진이 발생하는 작업장에서는 분진으로 인한 화재, 폭발에 유의해야 합니다.   분진 발생 물질의 세부 종류 분진 발생 물질 세부종류 곡물 셀룰로오스, 코르크, 옥수수, 보리, 콩, 아마씨, 귀리, 밀, 쌀, 해바리기씨,

분진폭발 방지 대책 더 읽기"

화재 폭발 개요

화재, 폭발 개요

연소의 정의 가연성 물질 + 산화제(산소) -> 반응 생성물 (빛, 열) 연소란, 기체, 액체, 고체 물질이 산소와 결합하여 빛과 열을 수반하는 산화반응 연소의 화학반응은 원계에서 생성계로 물질의 변화로서 원계에 일정한 활성화 에너지가 주어져서 활성 상태에 달하면 안정한 상태가 되기 위하여 에너지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이동 연소가 계속되기 위해서는 활성화 에너지를 받아 발화하고

화재, 폭발 개요 더 읽기"

누출원의 평가

누출원의 평가

누출등급 ▣ 연속 누출등급의 누출원 대기와 연결된 고정 통기구(vent)가 설치된 고정 지붕탱크(fixed roof tank) 내부의 인화성 액체 표면 지속적 또는 장시간 대기에 개방된 인화성 액체 표면 고빈도의 누출도 포함   ▣ 1차 누출등급의 누출원 정상작동 중 인화성 물질의 누출이 예상되는 펌프, 압축기 또는 밸브의 밀봉부(seals) 등 정상작동 중 배수과정에서 인화성 물질이 대기로 누출될 수 있는 용기의 배수점 등 정상작동

누출원의 평가 더 읽기"

폭발 위험장소 표현

폭발 위험장소 표현 방법

출처:www.opuskinetic.com   폭발 위험장소 형상 ▣ 저압(누출 방향을 예측할 수 없는 고압)의 가스 ▣ 고압의 가스 ▣ 액화가스   ▣ 가연성 액체 (비 비등폭발 풀) *인화성 물질의 누출원 미표시 ▣ 폭발 위험장소 구분용 데이터시트 – 가연성가스 종류별 특성 ▣ 폭발 위험장소 구분용 데이터시트 – 누출원 목록

폭발 위험장소 표현 방법 더 읽기"

폭발위험장소의 종별

폭발위험장소의 종별(Type- 0종/1종/2종/비위험장소)

폭발위험장소의 종별 – 일반사항 폭발성 가스 분위기의 형성 가능성은 누출등급 및 환기에 영향을 받는다 폭발위험장소(EHA) 종별 : 0종, 1종, 2종 및 비위험장소 하나의 누출원에 의해 폭발위험장소로 구분된 곳이 또 다른 누출원에 의한 위험장소와 중첩되면, 중첩된 장소에는 더 높은 폭발위험장소 등급 적용   누출등급의 영향 누출등급은 3가지로 인화성 물질 누출의 발생빈도와 지속시간의 내림차순으로 결정 a) 연속 누출등급 b) 1차 누출등급 c) 2차

폭발위험장소의 종별(Type- 0종/1종/2종/비위험장소) 더 읽기"

인화성 물질 누출

인화성 물질의 누출

일반사항 – 인화성 물질 누출  – 인화성 물질의 누출률(release rate) : EHA 범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 – 넓은 폭발범위 형성 조건 누출률이 많을 수록….. 폭발하한계(LFL)가 낮을수록…. *인화하한값 15%인 NH3 ->누출->급희석(개방된 공간) => 폭발성분위기 생성 무시 가능 누출원 ▣누출원 파악 EHA 구분 기본 요소 : 누출원 식별 및 누출등급 결정 인화성 물질이 해당 장소에

인화성 물질의 누출 더 읽기"

폭발위험장소 구분 방법

폭발위험장소 구분 방법론

폭발위험장소 구분 방법론 – 일반사항 ▣ 개요 플랜트나 설계를 간략히 조사하는 것, 폭발위험장소를 3종 장소 구분하는 것 쉽지 않음 폭발성 가스 분위기가 생성될 기본 가능성 분석하는 것 포함 필요 인화성 가스/증기 누출을 결정하는 경우, 누출 가능성과 빈도 (연속/1차/2차)에 따라 평가 누출등급, 누출률, 농도, 속도, 환기 등이 결정되면, 폭발성 가스 분위기의 생성 가능성과 폭발위험장소의 종류 및 범위를 결정하는 확실한 근거  

폭발위험장소 구분 방법론 더 읽기"

폭발위험장소 구분

폭발위험장소 구분 – 일반사항

안전보건규칙 별표 1 인화성 액체 : 인화점이 60℃ 이하인 물질 (원유, 납사, 가솔린, 에탄올, 메탄올, 헥산, 톨루엔 등) * 101.3 kpa에서 인화점이 60℃ 이하이거나 고온, 고압의 운전조건으로 화재, 폭발 위험이 있는 상태에서 취급되는 가연성물질(열매유 등 해당 가낭) – 산압법 시행령 별표10 인화성 가스 : 폭발하한이 13%이하이거나 폭발상하한의 차가 12% 이상인 것으로서 101.3kpa 하의 20℃에서 가스상태인

폭발위험장소 구분 – 일반사항 더 읽기"

방폭 관련 법규 용어

방폭 관련 법규 및 용어정리

  방폭관련 기준 산업안전보건법은 한국산업표준에 따라 폭발위험장소 설정관리 시행 [폐지] IEC 60079-10:2002 및 IEC 61241-10:2004 (1판) IEC 60079-10-1:2008 및 IEC 60079-10-2:2009 [국내,폐지] KS C IEC 60079-10-1:2007 [국내, 1판] KS C IEC 60079-10-1:2012 및 KS IEC 60079-10-2:2014 [국내, 2판] KS C IEC 60079-10-1:2015 (3판) IEC 60079-10-1:2020   가스폭발위험장소 설정 절차 누출원 누출등급 – 연속/ 1차/ 2차 누출등급

방폭 관련 법규 및 용어정리 더 읽기"

안전관리자 및 안전보건조정자의 자격 확대

건설공사발주자의 의무 확인

[건설공사 안전보건대장의 작성 등에 관한 고시] 건설공사 발주자의 의무 확인 󰊱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도급계약 체결 및 건설공사 사업계획 수립 시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비용을 도급금액 또는 사업비에 계상해야 합니다.   <관련 법률 조문> 「산업안전보건법」 제72조(건설공사 등의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등) ① 건설공사발주자가 도급계약을 체결하거나 건설공사의 시공을 주도하여 총괄ㆍ관리하는 자(건설공사발주자로부터 건설공사를 최초로 도급받은 수급인은 제외한다)가 건설공사 사업

건설공사발주자의 의무 확인 더 읽기"

CONTAMINATED LAND

건설공사 안전보건대장의 작성 등에 관한 고시

고용노동부 고시 제2023-000호 건설공사 안전보건대장의 작성 등에 관한 고시 (일부개정고시안)   건설공사 안전보건대장의 작성 등에 관한 고시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건설공사 안전보건대장의 작성 등에 관한 고시 제1조(목적) 이 고시는「산업안전보건법」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86조제4항에 따라 건설공사발주자(이하 “발주자”라 한다)가 건설공사 근로자의 산업재해 예방을 위하여 실시하여야 하는 건설공사의 계획, 설계 및 시공 단계별 조치에 관하여 필요한

건설공사 안전보건대장의 작성 등에 관한 고시 더 읽기"

한눈에 작업안전수칙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개정안. 23년 11월 14일(화)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개정안  2023년 11월 14일(화) 현장에 맞지 않는 낡은 규정 및 불합리한 규제를 발굴하고, 기술변화 등 산업현장의 환경변화를 반영하여 현장 적합성 및 작동성을 높임으로써, 안전기준이 실질적인 근로자의 산재 예방을 위한 기준으로 작동 할 수 있도록 법령과 관련 기준 차질 없이 지속해 정비할 것을 목적으로 함.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개정안]  주요내용  1. 반도체업 등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개정안. 23년 11월 14일(화) 더 읽기"

스마트 건설 OSC

안전시공, OSC(Off-Site Construction) 공법

From 현대건설 건설 패러다임의 변화 건설 현장에서 높게 쌓인 각종 자재와 장비들. 현장을 바쁘게 오가며 시설물을 가공하고 제작하는 사람들. 흔히 건설 현장하면 떠오르는 이러한 풍경들이 달라지고 있습니다. 마치 레고 블록을 조합하듯 미리 제작된 건축 자재를 조립하고 시끄러운 공사 소음도, 뿌연 분진도 없는데요. 이것이 바로 OSC(Off-Site Construction)로 달라진 건설 현장의 모습입니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OSC는 기존의

안전시공, OSC(Off-Site Construction) 공법 더 읽기"

작업환경측정

OCS 건설공사

OCS 건설공사 – KCS 10 70 50 : 2023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1) 이 기준은 OSC (Off-Site Construction) 건설공사 기술을 적용한 토목, 건축 등을 포함하는 건설공사에 대하여 일반적인 사항을 규정한다. (2) 이 기준은 건설공사에서 OSC 건설공사 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일반적인 사항을 정한 것으로, 시설물별 표준시방서(또는 공사시방서)에서 OSC 건설공사 기술 적용을 위한 별도의 기준을 정하는 경우

OCS 건설공사 더 읽기"

화학물질 정보게시

화학물질정보 표지판 관리요령

♦ 개요 사업장에서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회사는 다양한 우리나라 법령을 준수해야 합니다. 산업안전보건법, 화학물질관리법, 위험물안전관리법 등 다양한 법령에 적용을 받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각 법령에서 요구하는 화학물질정보 표지판, 게시물의 종류와 기준이 각기 다릅니다. 각 법령에서 요구하는 기준 및 조건 등을 안내 드립니다.   ♦ 산업안전보건법 구분 MSDS(물질안전보건자료) 작업공정별 관리요령 경고표지 관련 조항 산업안전보건법제 114조 제1항 산업안전보건법

화학물질정보 표지판 관리요령 더 읽기"

산소 생체반응

밀폐공간작업 질식재해예방

1.밀폐공간의 기초 ♦ 용어의 정리 • 밀폐공간 – 환기가 불충분한 상태에서 산소 결핍과 유해가스로 인한 건강장해와 화재, 폭발 등의 위험이 있는 장소를 말한다. – 우물, 수직갱, 터널, 잠함 케이슨, 피트, 맨홀, 탱크, 반응탑, 정화조, 침전조, 집수조 등이다.   • 유해가스 – 탄산가스, 일산화탄소, 황화수소 등의 기체로서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물질을 말한다.   • 적정한

밀폐공간작업 질식재해예방 더 읽기"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이해와 관리요령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이해와 관리요령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재해 현황 2011년 부터 2021년 기록 ♦설치 근거와 소화원리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는 소방시설법과 위험물안전관리법에 의거 산업현장에 설치되고 있습니다. 방사 후 소화약제의 잔존물과 물로 인한 수손 피해가 없기에 자진설비로도 설치하고 있습니다.   1. 소방시설법 – 물분무등소화설비 설치 대상     2. 위험물안전관리법 – 불활성가스 소화설비 설치 대상 ♦소화원리 화재발생 지역에 이산화탄소를 투입하여 소화 (산소농도를 낮추는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이해와 관리요령 더 읽기"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