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fety

구명조끼 발전

사람 살리는 구명조끼의 발전

구명조끼(Personal Flotation Device, PFD)  구명조끼는 물에 빠졌을 때 수면 위로 떠오르도록 도와줘 익사를 방지하는 보호장비 입니다.   고대 구명조끼 구명조끼의 역사는 고대 제국에서 시작되었답니다. 병사들에게 산양 가죽에 공기를 넣은 주머니인 ‘무스크스’를 지급해 바다에서 훈련할 때 사용했다고 합니다. 우리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구명조끼의 기원은 코르크나 나뭇조간으로 만들었던 구명조끼입니다. 1854년 영국 왕립구명정협회의 검사관인 캡틴 워드가 고안했던 코르크 […]

사람 살리는 구명조끼의 발전 더 읽기"

가구 넘어짐 사고

영·유아 가구 넘어짐 사고

영·유아 가구 넘어짐 사고 서랍장 오르다 “꽈당” 기억에 남은 뉴스 중에 만 4세의 여아가 서랍장 위의 과자를 꺼내기 위하여 서랍을 밟고 오르던 중 서랍장이 몸쪽으로 쓰러지는 사고가 있습니다. 아이의 발가락이 절단되었고 오랜 시간 병원에 내원하며 치료를 받아야 했습니다. 이와 비슷한 가정 내 가구 전도(넘어짐)로 인하여 어린이 안전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어 사용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가구

영·유아 가구 넘어짐 사고 더 읽기"

가스레인지 과열방지장치

가스 화재 – 과열방지장치

불을 사용하는 주방에서는 무엇보다 안전이 가장 중요합니다. 가스레인지 위, 냄비의 온도를 측정해 화재가 발생하기 전 자동으로 불을 꺼주는 ‘과열방지장치’는 주방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참고자료, 생활밀착 가스레인지용 과열방지 및  gas valve에 관한 KS표준 및 ISO 표준개발 최종보고서, 산업통상자원부   모든 가스레인지, 과열방지기가 있다 라면을 먹기 위해 냄비에 물을 끓이다가 그만 깜빡 잠이 들었다면, 어떻게

가스 화재 – 과열방지장치 더 읽기"

혈당측정기

슬기로운 건강생활 필수품, 혈당측정기

당뇨병은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 동반 질환의 비율이 높고 심혈관 질환, 신장 질환 등 합병증의 위험이 크기 때문에 혈당, 혈압 등을 적정 수준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당뇨병 관리에는 필수인 ‘혈당측정기‘는 어떻게 혈당을 측정하는 걸까요? 당뇨병 환자에게 중요한 혈당 측정 대한당뇨병학회 발표자료 ‘당뇨병 팩트 시트 2020’에 따르면, 우리나라 30세 이상 6명 중 1명이 당뇨병 환자!! 우리 몸은 음식을

슬기로운 건강생활 필수품, 혈당측정기 더 읽기"

신호등 역사

교통 신호등의 역사

교통 신호등의 역사 세계 최초의 신호등은 1868년 영국 런던 웨스트민스터에서 제일 처음 사용한 수동식 신호등이었습니다. 철도 정비사 ‘존나이트’는 원판에 둥글게 구멍을 뚫어서 정지 표시인 빨간색과 주의 표시인 초록색을 넣고 가스등을 달았다. 그러나 교통경찰이 직접 손으로 조작해야 했고, 가스 누출로 폭발이 자주 발생해 안전사고 문제로 사라지게 되고 그 자리를 촛불 신호등과 석유등이 차지하게 되었습니다. 1900년대에 들어서자

교통 신호등의 역사 더 읽기"

센니치 백화점 화재

비상구 유도등 유래

비상구 유도등과 센니치 백화점 화재 1972년 5월 13일 일본 오사카의 센니치 백화점에서 발생한 화재는 118명이 사망하고 78명이 부상을 당해 일본 빌딩 화재 중 역사상 최악의 피해로 기록됐다. 센니치 백화점은 1932년 건립된 가부키 극장을 일본 회사 드림 관광이 상업 건물로 개축했으며, 1958년 12월 1일 신가부키극장 개관에 맞춰서 개장했다. 지상 1층부터 지상 5층까지는 백화점과 슈퍼마켓, 6층에는 게임센더,

비상구 유도등 유래 더 읽기"

작업중지권에 대한 산업안전보건법

작업중지권에 대한 산업안전보건법

작업중지권에 대한 산업안전보건법 근로자의 작업중지 1) 근로자는 산업재해가 바라생할 급박한 위험이 있는 경우에는 작업을 중지하고 대피할 수 있다. 2) 제1항에 따라 작업을 중지하고 대피한 근로자는 지체없이 그 사실을 관리감독자 또는 그 밖에 부서의 장(이하 “관리감독자등”이라 한다)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3) 관리감독자는 제2항에 따른 보고를 받으면 안전 및 보건에 관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4) 사업주는 산업재해가

작업중지권에 대한 산업안전보건법 더 읽기"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구성 운영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구성•운영 매뉴얼

개요 산업안전보건위원회는 사업장의 안전과 보건에 관한 중요 사항을 사업주와 근로자들이 함께 참여하여 심의•의결하는 회의체입니다. 중처법과 관계 중대재해처벌법은 경영책임자에게 종사자의 의견을 들어 재해예방에 필요한 개선방안을 마련하도록 하고 있으며, 산업안전보건위원회에서 사업 또는 사업장의 안전보건에 관하여 논의하거나 심의, 의결하는 경우 해당 종사자의 의견을 드르은 것으로 본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이 중처법에 따른 안전보건관리체계를 구축할 때, 산업안전보건위원회를 통해서 근로자의

산업안전보건위원회 구성•운영 매뉴얼 더 읽기"

안전관리자 및 안전보건조정자의 자격 확대

건설공사발주자의 의무 확인

[건설공사 안전보건대장의 작성 등에 관한 고시] 건설공사 발주자의 의무 확인 󰊱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도급계약 체결 및 건설공사 사업계획 수립 시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비용을 도급금액 또는 사업비에 계상해야 합니다.   <관련 법률 조문> 「산업안전보건법」 제72조(건설공사 등의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등) ① 건설공사발주자가 도급계약을 체결하거나 건설공사의 시공을 주도하여 총괄ㆍ관리하는 자(건설공사발주자로부터 건설공사를 최초로 도급받은 수급인은 제외한다)가 건설공사 사업

건설공사발주자의 의무 확인 더 읽기"

CONTAMINATED LAND

건설공사 안전보건대장의 작성 등에 관한 고시

고용노동부 고시 제2023-000호 건설공사 안전보건대장의 작성 등에 관한 고시 (일부개정고시안)   건설공사 안전보건대장의 작성 등에 관한 고시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건설공사 안전보건대장의 작성 등에 관한 고시 제1조(목적) 이 고시는「산업안전보건법」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86조제4항에 따라 건설공사발주자(이하 “발주자”라 한다)가 건설공사 근로자의 산업재해 예방을 위하여 실시하여야 하는 건설공사의 계획, 설계 및 시공 단계별 조치에 관하여 필요한

건설공사 안전보건대장의 작성 등에 관한 고시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