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fety

WORKING AT HEIGHT

WORKING AT HEIGHT

BACKGROUND INFORMATION Working at Height continues to be the Construction Industries biggest killer, with falls accounting for 50% of all the deaths in construction. Approximately 40 people a year are killed by falls from height. The cause of most of these accidents were very basic and simple i.e. unlashed ladders, incomplete working platform, guard-rails and […]

WORKING AT HEIGHT 더 읽기"

SITE ELECTRICITY

SITE ELECTRICITY

BACKGROUND INFORMATION Electricity is essential on sites to power tools, provide lighting and heat it must be respected even the best and safest of installations can cause danger if abused. Electricity is when all safety precautions have been established and are maintained. Work on electrical equipment can only be carried out by competent person. HAZARDS

SITE ELECTRICITY 더 읽기"

MANUAL HANDLING

MANUAL HANDLING

BACKGROUND INFORMATION Lifting and moving loads by hand is one of the most common causes of injury at work. Many Manual Handing injuries result from repetitive operations but even one bad lift can cause a lifetime of pain and disability. HAZARDS Damage to the spine (slipped disc, crushed vertebrae, etc) Pulled or torn muscles or

MANUAL HANDLING 더 읽기"

삽교호 놀이기구

Noise

BACKGROUND INFORMATION Noise is unwanted sound as opposed to music and speach which provides entertainment and communication. Loud noise can damage your hearing. This damage cannot be repaired using a hearing aid. HAZARDS Difficulty in communicating due to high background noise Increased stress levels due to loud noise Temporary hearing loss after one off exposure

Noise 더 읽기"

good housekeeping

Good Housekeeping

BACKGROUND INFORMATION Many accidents are caused or aggravated by untidy conditions on site. There is a duty for all of us to keep our workplace in good order. Good housekeeping is essential in running a safe site. HAZARDS Stumbling, tripping or slipping on material left oon floors, platforms or walkways. Falling objects from material left

Good Housekeeping 더 읽기"

소방설비기사 전기부분 실기

2019년 소방설비기사 전기부분 실기 – 단답형

비상콘센트설비의 전원회로 ∴ 국가화재안전기준에서 정하는 누전경보기의 용어 정의 ▶ ( 누전경보기 ) 란 내화구조가 아닌 건축물로서 벽, 바닥 또는 천장의 일부를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재료가 아닌 재료에 철망을 넣어 만든 건물의 전기설비로부터 누설전류를 탐지하여 경보를 발하며 변류기와 수신부로 구성된 것을 말한다 ▶ ( 수신부 ) 란 변류기로 부터 검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누전의 발생을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에게 경보하여 주는 것 (차단기구를

2019년 소방설비기사 전기부분 실기 – 단답형 더 읽기"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및 소화용기에 대한 조치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및 소화용기에 대한 조치

[안전보건공단 Q&A 자료]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주요 질의사항 제628조의2,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와 관련하여 어떤 사항이 신설되었나요? -> 이번 개정법령에서는 이산화탄소를 소화약제로 사용하는 소화설비 취급 시 안전조치 사항을 상세히 규정 *이산화탄소 소화설비가 설치된 방호구역등 내 출입시 조치사항, 점검, 유지보수 시 조치사항 등을 이행하도록 하는 규정 신설(안전보건규칙 제628조의2) ∴ 제628조의2,  신설 규정의 ‘방호구역등’은 방호구역과 소화용기 보관장소를 모두 포함하는 건가요?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및 소화용기에 대한 조치 더 읽기"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할론소화설비)

소화설비 –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할론소화설비)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개요 이산화탄소소화설비는 화재에 대해 질식 및 냉각효과에 의한 소화를 목적으로 이산화탄소를 고압용기에 저장해 두었다가 화재 시 수동조작 및 자동기동에 의해 배관을 통하여 화점에 이산화탄소 가스를 분사하여 화재를 소화하는 설비이다. 보통 대기 중에는 체적비로 산소가 21% 차지하고 있는 바 이를 약 15% 이하로 감소시키면 연소가 계속적으로 되지 못하고 소화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또한 불연설가스에는

소화설비 –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할론소화설비) 더 읽기"

소화설비 - 스프링클러소화설비

소화설비 – 스프링클러소화설비

스프링클러설비의 종류 습식 스프링클러설비 : 송수펌프에서 폐쇄형 헤드까지 배관 내에 항상 물이 가압되어 있다가 화재 발생 시 폐쇄형 헤드가 열에 의하여 개방되어 소화하는 형태이다 건식 스프링클러설비 : 송수펌프에서 건식밸브 1차측까지 배관 내에 항상 물이 가압되어 있고 2차측부터 폐쇄형 헤드까지는 압축공기 또는 질소가스로 압축되어 있다가 화재 발생 시 폐쇄형 헤드의 개방으로 소화하는 형태이다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 : 송수펌프에서 준비작동밸브 1차측

소화설비 – 스프링클러소화설비 더 읽기"

소화설비 - 옥내소화전설비

소화설비 – 옥내소화전설비

옥내소화전설비 옥내소화전설비는 건축물 내부의 화재를 진화하는 수계소화설비로, 발화 초기에 자체요원에 의하여 사용되는 고정식 설비이다. ∴ 펌프 기동방식 수동기동방식 (on-off 스위치 방식) : 동파우려로 일반적으로 학교, 공장, 창고 등에 설치 자동기동방식 (기동용 수압개폐장치방식) : 기동용수압개폐장치는 옥내소화전설비 뿐만 아니라 스프링쿨러설비, 포소화설비, 물분무소화설비에서도 필수적인 기동방식 ∴ 옥내소화전설비 전원 – 상용전원회로의 배선 저압수전인 경우, 인입개폐기의 직후에서 분기하여 전용배선 특고압수전 또는 고압수전인 경우, 전력용 변압기 2차

소화설비 – 옥내소화전설비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