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fety

고양 시외버스 종합터미널 화재사고

고양 시외버스 종합터미널 화재사고 (14.05.26)

고양 시외버스 종합터미널 화재사고 2014년 5월 26일  오전 9시 고양 시외버스터미널 ▣ 사고일시  : 2014년 5월 26일 오전 9시 경    ▣ 사고개요  : 고양 시외버스 종합터미널 내부 공사 중 용접작업에 의한 화재 발생   ▣ 재해규모  : 사망 8명, 부상 58명   ▣ 사고원인 지하 1층에서 용접작업 중 불티 비산으로 불이 옮겨 붙으며 화재 발생 방화셔터가 작동하지 않았고, 에스컬레이터를 […]

고양 시외버스 종합터미널 화재사고 (14.05.26) 더 읽기"

마우나 리조트 붕괴사고

마우나 리조트 붕괴사고 (14.02.17)

마우나 오션 리조트 체육관 붕괴 2014년 2월 17일  ▣ 사고일시  : 2014년 2월 17일 오후 8시 경  ▣ 사고개요  : 신입생 환영회 행사 중이던 체육관이 폭설로 인해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붕괴   ▣ 재해규모  : 사망 10명 ▣ 사고원인 해당 체육관은 철제 구조에 샌드위치패널로 마감하는 PEB 공법이며, 설계도와 다르게 지붕이 건설되었음 건축법상 경주시 지역의 적설 하중 기준은 50kg/㎡으로 타 지역에 비해 하중 기준이

마우나 리조트 붕괴사고 (14.02.17) 더 읽기"

나산백화점 공사 붕괴

나산백화점 공사 붕괴 (08.10.31)

나산백화점 철거 공사 중 붕괴 2008년 10월 31일 ▣ 사고일시  : 2008년 10월 31일  ▣ 사고개요  : 나산백화점 철거 작업 중 굴착기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붕괴 ▣ 재해규모  : 사망 1명, 부상 1명 ▣ 사고원인 건물 상부에서 철거 작업 중 건물이 굴착기의 하중을 견디지 못하여 붕괴 방수 역할을 하는 지붕이 없는 상황에서 빗물이 콘크리트로 스며들어 구조가 약화된 탓에 건물이 굴착기에 무게를

나산백화점 공사 붕괴 (08.10.31) 더 읽기"

삼풍백화점 사고

삼풍백화점 붕괴 (95.06.29)

삼풍백화점 붕괴 1995년 6월 29일 ▣ 사고일시  : 1995년 6월 29일 오후 6시 경 ▣ 사고개요  : 삼풍백화점 붕괴  ▣ 재해규모  : 사망 502명, 부상 937명 ▣ 사고원인 – 원칙무시 최초 ‘삼풍랜드’라는 종합상가(지하4층/지상4층)로 설계되어 준공 무렵, 백화점(5층 확장공사)으로 무리하게 확장 건축으로 변경되었고, 구조전문가의 검토가 생략, 준공시 준공검사도 무시한 채 임시사용승인만으로 개점. 지하에 설치하고자 한 냉각탑(4개)은 지하공간 확보 이유로 옥상으로 변경 설치   – 부실시공 넓은 매장공간을

삼풍백화점 붕괴 (95.06.29) 더 읽기"

성수대교 붕괴

성수대교 붕괴 (94.10.21)

성수대교 붕괴 1994년 10월 21일 ▣ 사고일시  : 1994년 10월 21일 오전 7시 경 ▣ 사고개요  : 성수대교 제5-6번 교각 사이 상부 트러스 약 50m 붕괴   ▣ 재해규모  : 사망 32명, 부상 17명 ▣ 사고원인 – 점검부실 트러스식 공법은 이음새가 잘못되면 무너지기 쉬운 공법으로 이음새 핀 등 세부 요소들의 정기점검 조치가 소홀하였음 – 내부결함 성수대교 다리 및 부분을 이루고 있는 트러스가 제대로 연결되지 않았고,

성수대교 붕괴 (94.10.21) 더 읽기"

지하철 사고사례

서울 지하철 3호선 공사현장 붕괴 (82.04.08)

서울 지하철 3호선 공사현장 붕괴 1982년 4월 8일 ▣ 사고일시  : 1982년 4월 8일 오후 6시 경 ▣ 사고개요  : 서울 3호선 318공구, 무악재 내리막길에서 지하굴착 발파작업 부주의로 붕괴   ▣ 재해규모  : 사망 4명, 부상 6명 ▣ 사고원인 강재를 잘못 시공하고, 암반에 균열이 생겼는데도 불구하고 사전조치를 실시하지 않음 복공판 위에는 130t 가량의 무게 크레인과 자재가 있었으며, 사전 조치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발파작업을 한

서울 지하철 3호선 공사현장 붕괴 (82.04.08) 더 읽기"

와우아파트 붕괴

와우지구 시민아파트 붕괴 (70.04.08)

와우지구 시민아파트 5층 붕괴 1970년 4월 8일 ▣ 사고일시  : 1970년 4월 8일 오전6시 경 ▣ 사고개요  : 와우지구 시민아파트 붕괴  ▣ 재해규모  : 사망 34명, 부상 40명 ▣ 사고원인 서울특별시 마포구 창전동 와우산 기슭에 위치했던 와우 시민아파트 19개동 중 1개동(15동)이 붕괴된 사고 1969년 6월 26일에 착공해 6개월만인 12월 26일 준공 건물 설계 하중은 ㎡당 280kg이나 실제 하중은 ㎡당 600kg 이상으로 초과 70도 경사진 산비탈에 세워진 아파트의

와우지구 시민아파트 붕괴 (70.04.08) 더 읽기"

ACS(Auto Climbing system)폼

RCS & ACS 특징 및 안전작업지침

초고층 건축물 콘크리트 공사에 사용되는 공법 중 하나인 시스템거푸집 RCS – ACS 입니다. ▣ RCS(Rail Climbing System)폼이란? – 벽체용 거푸집으로서 갱폼에 거푸집 설치를 위한 비계틀과 기 타설된 콘크리트의 마감용 비계를 일체로 제작한 거푸집이며, 특히 Rail과 Shoe가 맞물려 크레인이 없이 유압을 이용하여 자립으로 인상작업이 가능하고 주로 외주부에 설치한다.   ▣ ACS(Auto Climbing system)폼이란? – RCS와 비슷하나 E/V pit처럼

RCS & ACS 특징 및 안전작업지침 더 읽기"

피뢰침의 구조

피뢰침

번개는? 번개는 대기의 불안정을 일으키는 구름이 생성되면서 발생합니다. 구름 속에는 양전하와 음전하를 띠는 입자들이 있는데, 둘이 만나 순간적으로 전기를 만드는 현상을 우리는 ‘번개’라고 부릅니다. 가끔 이 현상은 구름과 지표면 사이에도 나타나는데, 이것을 ‘낙뢰(落雷)’ 또는 ‘벼락’이라고 합니다. 이 낙뢰의 전압은 무려 1억 볼트로 집에서 쓰는 전기의 50만 배에 해당한다고 해요. 우리는 구름 속의 번개보다 지표면의 낙뢰를 조심해야겠죠!

피뢰침 더 읽기"

안전문화 리더쉽

안전문화 그리고 리더쉽

안전문화 그리고 리더쉽 사고 개요 – 1986년 1월 28일, 11시 38분. 케네디 우주센터 발사 73초 후 1만4,000m, 상공 폭발 사고 원인 O링 동결 → 연료 누출 → 폭발 SRB 납품 업체인 모튼치오콜의 위험 경고를 무시하고 NASA 관리자들 회의에서 발사 결정 사고 영향 매콜리프(교사) 포함, 승무원 7명 전원 사망 직접 손실액 : 4,895억 원 우주왕복선 사업 전면 중단  문화  안전보건

안전문화 그리고 리더쉽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