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fety Issue

안전블록

안전블록 점검

안전대와 안전블록은 지붕공사 등 고소작업자의 떨어짐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입니다. 지붕공사에서는 그네식 안전대를 사용하는 게 적절하며 안전블록을 사용해 떨어짐 사고 위험에 대비해야 합니다. 안전블록 사용 전, 점검 안전블록은 반드시 안전인증을 받은 그네식 안전대와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그네식 안전대는 신체를 지지하는 장비로 떨어졌을 때 충격을 분산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안전대와 안전블록을 사용하기 전 로프 등이 마모되거나 금속제가 […]

안전블록 점검 더 읽기"

외국인 근로자 우울증

외국인 근로자의 우울증

보통 외국인 근로자, 외국인 노동자라고 하면 한국 사람들이 기피하는 3D산업에만 종사하는 외국인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외국인 근로자는 예전보다 훨씬 다양한 영역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 외국인 근로자와 관계 맺는 방법 1. 적정 거리 유지하기  외국인 근로자의 가장 큰 스트레스 원인은 불안정한 법적 지위입니다. 자신이 잘 적응하지 못한 탓에 회사로부터 이를 이유로 해고를 당해 강제 출국을 당하게 되는

외국인 근로자의 우울증 더 읽기"

소화기 발명

소화기 발명

군대에서 태어난 소화기 연소의 3요소 중에서 한 가지라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면 불은 즉시 꺼진다. 화재를 예방하는 소화기는 이 원리를 이용해 만들어졌다. 1723년 독일 출생의 영국 화학자 암브로스 고드프리가 고안한 소화기가 최초로 인정받는다. 소화기 안의 소화액을 분사하는 형태였지만 사용 범위는 제한적이었다. _ 현대식 소화기는 영국의 군인이었던 조지 윌리엄 맴비가 1818년 개발했다. 맨비는 에든버러 화재 당시

소화기 발명 더 읽기"

비염

봄철 비염

봄철 콧속, 가슴속을 괴롭히는 ‘비염’ 출처, 질병관리청 _ 앓아본 사람만 안다는 참 괴로운 병, 알레르기 비염. 이 병은 코 점막에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물질이 포함됐을 때 발병하는 만성 질환으로 이렇다할 완치제도 없다. 더 눈여겨 볼 것은 의학의 눈부신 발전에도 알레르기 비염 환자는 늘었다는 점이다. _ 그 원인으로는 환경오염과 면역력 저하가 거론되고 있다. 특히 봄이면 증상이 심해지는

봄철 비염 더 읽기"

계면활성제

계면활성제 위험

비누, 샴푸, 치약, 세탁세제, 주방 세제, 화장품 등은 생활 속에서 하루 한 번 이상 사용되는 제품입니다. 이 제품들에는 모두 계면활성제가 포함되어 있죠. 최근 이들이 가진 계면활성제 유해성과 관련된 논의가 진행되면서 사용을 중지해야 하는지, 중지하면 대체제는 있는지에 대해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계면활성제는 정말 해로운 물질일까요?   _  물과 기름의 경계를 완화하는 ‘계면활성제’ ‘계면’이란 기체와 액체, 액체와

계면활성제 위험 더 읽기"

타워크레인

크레인 설치,해체 작업 안전수칙

타워크레인 사고 크레인 해체 중이던 철제 구조물 일부가 떨어져 근로자가 숨지는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는 지브 크레인의 3분의 2지점에 있던 크레인의 중심을 잡아주는 철제구조물(40t)이 20여m 아래로 떨어지면서 구조물 안에 있던 4명의 근로자가 그대로 함께 추락하여 숨지는 안타까운 사고였다. 크레인 해체 작업 시에는 이런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다른 크레인을 불러 기계실을 들어 고정한 후 해체해야 한다.

크레인 설치,해체 작업 안전수칙 더 읽기"

하인리히 법칙

하인리히 법칙

사고는 어느 날 갑자기 예고 없이 찾아온다고 생각하지만 사실 어떤 사고든 늘 우리에게 끊임없이 경고를 보내고 있습니다. 그 경고를 알아채지 못하고 무시할 때, 결국 더 큰 사고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84년 전 하인리히는 이 불길한 징후를 간파했고, 1:29:300 이라는 법칙을 발견했습니다. 이 법칙은 지금까지 안전을 예방하는데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_  하인리히가 알아낸 1:29:300의 비밀 1920년대

하인리히 법칙 더 읽기"

유럽 작업환경측정

유럽, 직업성 암 위험요인 조사 (WES)

▣ 근로자 위험 노출 조사란? 유럽 산업안전보건청(EU-OSHA)에서 EU 회원국 중 6개국(독일, 아일랜드, 스페인, 프랑스, 헝가리 및 핀란드)를 대상으로 실시한 대규모 근로자 (위험) 노출에 관한 설문조사로서 작업 환경에서 근로자들이 직업성 암을 유발하는 인자에 노출되는 정도를 평가하고 예방 정보를 제공하여 직업성 질환으로부터 보호하려는 목적을 갖고 있다. _  ▣ 주요 조사 결과 조사 대상인 24가지 직업성 암 유발 인자

유럽, 직업성 암 위험요인 조사 (WES) 더 읽기"

소음 측정

소음측정기

우리 일상생활에서 들리는 수많은 소리 중어떤 것이 소음일까? 단순히 불쾌한 소리라고 생각했던 소음이청각 장애부터 심장질환, 지속적인 스트레스를 야기한다고 한다.  상태와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소리 소음의 사전적 의미는 ‘불규칙하게 뒤섞여 불쾌하고 시끄러운 소리’이다. 우리의 일상은 다양한 소리로 가득하다. 소리는 사람의 귀가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압력 변화로, 각자의 상태나 주위 환경에 따라 어떠한 소리든 소음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소리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위는 압력으로

소음측정기 더 읽기"

부탄가스

휴대용 가스레인지(부탄캔) 사용

휴대용 가스레인지를 이용한다면 안전사고에 주의하자. 일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휴대용 가스레인지(부탄캔) 폭발사고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가스 사고는 작은 부주의로도 폭발이나 화재 같은 대형참사로 이어질 수있으므로 안전하고 건강한 생활을 위해 누구나 반드시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사용자 부주의에 따른 화재 사고 2014년 초등학교 먹거리 바자회 행사에서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부탄캔이 폭발해 14명이 중경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했다. 원인은 고기를 구울 때 사용하는

휴대용 가스레인지(부탄캔) 사용 더 읽기"

링거

링거액 발명

링거액은 포도당을 추가한 주사액으로 생리 식염수와 마찬 가지로 체액을 보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링거액은 1831년 개구리의 심장근육 수축력을 유지하기 위한 최적의 소금 농도를 알아내면서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_ 링거액은 1882년 영국의 의사 시드니 링거(Sydney Ringer)가 고안한 치료용 수액이다. 이후 알렉시스 하트만(Alexis Hartmann)이 산성혈증 (acidosis)을 치료하기 위해 수액에다가 젖산(Lactate)을 첨가해 하트만 수액(Hartmann’s solution)을 개발했다. 현재 우리가 흔히 링거라고 부르는 것은 바로 이 하트만

링거액 발명 더 읽기"

김치냉장고

장기사용 김치냉장고 화재

오늘 아침식사에도 지난해 담근 김치가 너무 맛있어서 먹을 때마다 감탄을 자아낸다. 이렇게 맛있는 김치를 유지할 수 있게 도와주는 냉장고에 대한 이야기이다. 김치냉장고 설치 시 고려사항 습기와 먼지 발생이 많은 곳을 피한다. 제품과 벽면 사이 간격을 10cm 이상 띄운다. 전원선과 전원 플러그가 다른 물체에 눌리지 않도록 한다. 누전 차단기 또는 접지단자가 있는 콘센트를 사용한다. _ 장기

장기사용 김치냉장고 화재 더 읽기"

어린이 사고 연령대별 불안전사고 유형과 예방법

‘아차!’ 순간 발생하는 어린이 사고 아이들의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방학. 추운 날씨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뛰어노는 아이들은 각종 사고 위험에 노출돼 있다. 체구가 작아 신체 부위 중 머리가 가장 크고 무거운 만큼, 추락이나 낙상 시 머리부터 땅에 닿으면서 큰 부상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크다. ‘아차!’ 하는 순간 발생하는 어린이 불안전사고의 가장 좋은 예방법은 바로 ‘관심’이다. _  1세 미만

어린이 사고 연령대별 불안전사고 유형과 예방법 더 읽기"

방탄조끼

세계 최초의 방탄조끼 ‘면제배갑’

조선 시대에 만들어진 세계 최초의 방탄조끼 ‘면제배갑’ 1871년 신미양요 당시, 절대적인 열세 속에서 조선군을 보호해준 유일한 보호구. 조선 시대에 만들어진 세계 최초의 방탄조끼 ‘면제배갑’이다 _  130년 전에 보여준 ‘Made in Korea’의 저력 ‘Made in Korea’가 전 세계를 열광시키고 있다. 빌보드 차트 1위에 오르며 K-POP의 열풍으로 전 세계 각국에서 한국어로 된 노래를 능숙하게 따라 부르고, 세계적인 언론들은

세계 최초의 방탄조끼 ‘면제배갑’ 더 읽기"

조엘마 화재

조엘마 빌딩 화재사고

조엘마 빌딩은 브라질 상파울루 시내 중심에 1971년 건축된 25층 빌딩이었다. 은행, 변호사 사무실 등이 있는 상업용 건물로 수많은 사람들이 오가는 건물이었다. 1974년 2월 1일, 오전 8시 50분 조엘마 빌딩 12층에 있는 한 사무실 에어컨 전선에 합선이 발생했다. 불은 커튼에 옮겨붙으며 순식간에 주변으로 번졌고 중앙 계단을 통해 확산되었다. 당시 건물은 목화, 나무 등의 섬유질에서 천연적으로 생성되는

조엘마 빌딩 화재사고 더 읽기"

TBM

작업 전 안전미팅 (TBM, Tool Box Meeting)

작업 전 안전미팅(TBM)은 현장에서 소규모로 단시간에 진행하는 회의로 안전 확보를 위한 세부 작업방법 등을 논의하고 결정하는 활동이다. 안전미팅을 할 때는 안전보건관리 전반에 관한 정보를 공개하고, 모든 구성원이 참여할 수 있는 절차를 마련한다. 또한 자유롭게 의견을 제시할 수 있는 문화를 조성한다. 1) 준비단계 모든 구성원이 참석한다. 안전하게 대화할 수 있는 장소를 찾는다. 관리자는 일방적으로 명령하거나 지시하지

작업 전 안전미팅 (TBM, Tool Box Meeting) 더 읽기"

경비원

아파트 경비원을 위한 건강 가이드

장년층 근로자가 많은 직종, 신체적 정신적 건강 장애 예방 관리 우리나라 주거형태에서 공동주택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아파트를 관리하기 위한 ‘아파트 경비원’의 수도 늘어나고 있다. 아파트 경비원은 대부분 퇴직 이후에 새로 일을 시작하기 때문에 연령층이 50세 이상이 많은데, 50세 이상의 장년 근로자는 신체적, 정신적 변화로 인해 사고발생 가능성이 높고, 뇌·심혈관질환의 발병 위험도 높다. 또한 24시간 야간·교대근무와 장시간 근무를 하고 있어 수면장애, 심혈관질환, 위장장애 등의 건강문제를 겪을 수 있어 이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과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_  STEP 1 충분한

아파트 경비원을 위한 건강 가이드 더 읽기"

쾌적한 작업환경, 조명의 역할

작업장에서 근로자가 안전한 시야를 확보하고 눈의 피로를 덜어주는 데 있어 조명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조도와 광도가 작업자에게 최적의 환경을 조성하는 기준을 초과할 경우 불쾌감이나 고통, 눈의 피로를 초래할 수 있어 좀 더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작업장에서 사용되는 조명은 크게 전체조명과 국부조명으로 나눌 수 있다. 전체조명(General lighting)은 공장 내부 작업장과 사무실, 교실 등 사람이 많고 기계 및

쾌적한 작업환경, 조명의 역할 더 읽기"

폭설

폭설 안전수칙

폭설과 한파로 눈길 교통사고, 청소 작업 중 미끄러짐, 저체온증, 동상, 제설작업 중 미끄러짐, 보행 중 빙판에 넘어짐 등 다양한 위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전한 보행을 위한 미끄럼 방지화, 방한복 등 적정 보호구를 착용, 안전한 제설 작업 등 폭설로 발생하는 위험에 대비해야 합니다. 폭설이 내릴 때 위험요인 ‘폭설’은 짧은 시간에 많은 양의 눈이 오는 기상 현상으로

폭설 안전수칙 더 읽기"

사마리아인법

선한 사마리아인법

‘선한 사마리아인법‘은 고통받는 사람을 기꺼이 도와주기 위하여 즉 도덕적 의무를 이행하다가 예기치 않은 피해가 발생하더라도 고의나 중대한 과실이 없을 경우에는 민·형사상 책임을 면제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나라는 2008년 6월 13일자 일부개정된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5조의 2항에 의거하여 다음과 같이 ‘선한 사마리아인법’을 규정하고 있다.   ▣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5조의2(선의의 응급의료에 대한 면책)  생명이 위급한 응급환자에게 다음 각 호의

선한 사마리아인법 더 읽기"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