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fety Issue

금화도감 – 우리나라 최초 소방서

한양 대화재 사건으로 시작된 소방 역사 산이 많고 건조한 우리나라는 화재가 나기 쉬운 조건을 갖추고 있습니다. 나무나 짚으로 만든 기와집과 초가집이 대부분이라 불씨가 집으로 옮겨붙으면 금방 크게 타올랐습니다. 집들도 서로 가까이 붙어 있어 한 집에 불이 나면 온 동네를 태우고 나서야 꺼졌습니다. 화재는 재앙이었습니다. 화재를 진압하고 나면 그 원인을 찾는데 많은 힘을 들이고, 같은 일이

금화도감 – 우리나라 최초 소방서 더 읽기"

예초기 기계톱 안전

예초기 및 기계톱 사용 안전수칙

조경 작업은 공원, 건물 주변, 정원에 꽃이나 나무를 심고 가꾸는 업무, 장비나 나무를 운반하고 나무를 식재할 구멍을 파는 업무를 수행합니다. 이 과정에서 기계톱, 예초기 등의 장비를 사용하면서 베임, 맞음, 소음 등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 조경 작업에 필요한 기계·기구의 위험  ‘예초기’는 소형 엔진을 이용해 날을 회전시켜 풀을 베는데 사용하는 기계를 말합니다. 연료에 따라 휘발유를

예초기 및 기계톱 사용 안전수칙 더 읽기"

독일 화학물질관리법 REACH

독일 화학물질관리법 (REACH)

시중에서 구입한 가습기 살균제를 쓴 소비자가 사망하거나 치명적인 폐 질환에 걸린 ‘가습기 살균제 사건’, 불산을 취급하는 공장에서 10톤의 불산 가스가 누출돼 5명의 노동자가 사망하고, 18명의 부상자가 생긴 ‘구미 불산 누출 사고’등은 산업 현장에서 발생되는 화학물질이 우리를 어떻게 위협하는지 보여줍니다. 독일은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노동자와 소비자를 모두 생각하는 화학물질관리법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소비자와 노동자 모두를 지키는

독일 화학물질관리법 (REACH) 더 읽기"

교대직 건강관리

교대작업자 안전수칙

≪ 교대작업자는 야간작업 등 2개조 이상으로 나누어 각각 다른 시간대에 교대로 작업하는 근로자를 말한다. 교대작업자는 오후 10시부터 다음날 오전 6시 사이에 업무를 하는 야간 작업을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생체리듬 교란에 따른 수면자앵, 만성피로, 고혈압, 뇌심혈관 질환 등 위험 요인이 발생할 수 있어 작업 및 건강 관리에 유의해야 한다 ≫ [참고자료, 교대작업자 건강관리 방안] ▣교대 작업으로 나타날 수

교대작업자 안전수칙 더 읽기"

거울 안전

거울에 ‘안전’이 보인다

거울의 원리를 알면 ‘안전’이 보인다 고대 그리스의 유명한 수학자 아르키메데스는 로마와의 전쟁 당시, 해안에 6개의 대형 오목거울을 동그렇게 붙인 형태(요면경)로 배치하여 가까이 접근한 로마군의 배에 햇빛을 모아 불을 붙게 함으로써 승리로 이끈 일이 있었습니다. 거울의 원리를 전쟁에 이용한 예입니다. 우리가 어린 시절 돋보기를 가지고 햇빛을 모아 종이나 낙엽 등을 태웠던 바로 그 원리 입니다. 거울이

거울에 ‘안전’이 보인다 더 읽기"

외국인 근로자 교육

‘언어’가 통해야 ‘안전’도 통한다

외국인 근로자, 최근 건설업 외국인근로자의 재해 건수는 25%이상 증가하였으며, 다른 업종에 비해 건설업의 재해수가 2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건설 공사장 근무 6개월 이내 산업재해가 47%를 차지하고 있어 외국인 근로자들에 대한 안전보건관리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안전교육에 취약한 외국인근로자들 산업안전보건법상 국내 일용직근로자는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4시간을 이수하여야만 건설현장에서 일을 할 수가 있으나 외국인 근로자는 안전보건교육에 대한

‘언어’가 통해야 ‘안전’도 통한다 더 읽기"

마스크 역사

(생활필수품) 마스크의 역사

미세먼지, 공기로 전파되는 세균과 바이러스 등의 위험을 막아주는 호흡용 보호구 마스크의 역사는 고대 로마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로마 자연 철학자 겸 박물학자인 플리니는 동물의 방광을 사용해 마스크를 만들었습니다. 당시 광부들이 호흡기 질환으로 사망하는 일이 늘어나자 납, 산화 먼지 등의 유해물질의 흡입을 막기 위해서였습니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유해가스를 사용하는 화학전에 발생할 때 호흡기를 보호하기 위해 ‘스펀지’로 만든 마스크가 사용되기도

(생활필수품) 마스크의 역사 더 읽기"

잔류농약 위험성

보이지 않아서 더 무서운 잔류농약

▣농작물을 키울 때 사용하는 농약, 잔류에 따른 위험 농약은 농작물에 발생하는 병충해을 방제하고 농작물의 수량 증대, 품질 등의 이유로 매우 중요한 농업 자재 중 하나입니다. ‘농약관리법’에 의하면 농약은 독성 정도에 따라 맹독성, 고독성, 보통독성, 저독성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국내에는 보통독성과 저독성만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농약을 사용하면 해충이 예방되고 ,잡초를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목적성을 가지고

보이지 않아서 더 무서운 잔류농약 더 읽기"

도급 안전보건관리

도급근로자의 안전보건관리

도급사업은 일을 맡기는 도급업체에 비해, 일을 맡는 수급업체의 규모가 훨씬 작은 경우가 많은데, 이와 같은 규모의 차이는 대개의 경우 근로자 안전관리 수준의 차이와도 일치합니다. 안전관리의 능력이나 인식이 미약한 수급업체 소속 근로자들이 근무 중 사고를 당하는 확률이 높은 만큼, 도급사업주 및 도급업체 안전관리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들 수급업체 근로자들의 안전한 작업을 보조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사고위험이 높은

도급근로자의 안전보건관리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