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안전자료] 배관 및 가스킷 명세

▣ 배관 및 개스킷 명세  [별지 제16호 서식]

<별지 제8호 서식>

▣ 분류코드

– P&ID상 배관재질 기호로 기입(예:A1B2)

▣ 유체의 명칭 및 구분

– P&ID상 유체명칭 기호 기입, 유체의 상태 기입

▣ 설계압력 (D-9)

– 최저 설계온도에서 설계압력

– 최고 설계온도에서 설계압력 각각 기입

▣ 배관재질 KS/ASTM 등 분류기호 기입

– KS D 3573 SPA23

– ASTM A335 P11

▣ 배관 재질 코드의 구성

▣ 개스킷 재질 및 형태

– 형식은 일반명으로 기입

– S/W STS 304 W/GRAPHITE FILLER

▣ 비파괴 검사율

– 실제 실시 예정인 검사방법 및 검사율 기입

– 최소 CODE 등에서 정한 율 이상 실시

▣ 후열처리

– 실제실시 여부 기입

▣ 개스킷의 선정지침

▣ 배관의 비파괴검사 대상

▷ 100%

   – 독성물질 취급 배관

   – 동 코드에 규정된 용접 후 열처리가 요구되는 배관

   – 영하 30℃이하의 위험물질 취급 배관

   – 300 ℃이상의 위험물질 취급배관

▷ 상기 이외의 위험물취급 배관

   – 두께가 10mm이하인 배관 : 10%

   – 두께가 10mm초과하는 배관 : 20%

▣ 배관의 후열처리 기준

주 1) ASTM A 240, Gr.429에 상응하는 재질은 621~663℃의 온도범위에서 후열처리 하여야 한다.

     2) 후열처리 후에 가능한 한 신속히 냉각하여야 한다.

     3) 후열처리 후 650℃까지는 시간당 60 ℃이하로 냉각하여야 한며, 650℃이하에서는 취성(Embrittlement)을 방지하기 위하여 빠른 속도로 냉각하여야 한다.

    4) 후열처리 후 320℃까지는 시간당 170℃이상으로 냉각하여야 한다.

    5) 용접 후 14일 이내에 후열처리 하여야 한다. 후열처리 후 430℃까지는 시간당 280℃이하로 냉각하고 430℃부터는 대기중에서 냉각하여야 한다.

    6) 열처리로에서 후열처리 한 경우에는 용접부의 10%에 대해 브리넬 경도를 측정하고, 현장에서 국부적으로 열처리 한 경우에는 용접부 전체에 대하여 경도 측정하여야 한다.

▣ 배관의 용접 전, 열처리 기준

kassy

Recent Posts

Mistakes and Safety Culture

How Should We Respond to Mistakes? There was a tragic accident where a driver mistakenly…

19시간 ago

The Importance of Workplace Ventilation

Fresh air flowing into our bodies – why proper workplace ventilation matters!  .   .  In…

2일 ago

Degrees of Burns and First Aid

A burn is an injury where skin cells and soft tissues are damaged or destroyed…

3일 ago

the Heart of Baekdudaegan: Taebaeksan Mountain

TaebaeksanJust hearing the name of Taebaeksan (Mt. Taebaek) is enough to stir excitement. For me,…

2주 ago

Ngoc Hien Pearl Shop

Ngoc Hien Pearl Shop (Ngọc trai Ngọc Hiền) .  If you’re looking for a place…

4주 ago

Hiking Alone in the Mountains of Gangwon Province – Geumsusan

Hiking Alone in the Mountains of Gangwon Province – Geumsusan This time, I set out…

4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