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폭기술

분진폭발 방지 대책

분진폭발

분진폭발은 가스폭발에 비해 연소 속도가 느리고 폭발 압력은 작지만, 연소 시간이 길고 파괴력이 큽니다.

또한 연소한 분진의 팽창으로 압력이 상승해 연소 가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분진이 발생하는 작업장에서는 분진으로 인한 화재, 폭발에 유의해야 합니다.

 

분진 발생 물질의 세부 종류

분진 발생 물질 세부종류
곡물 셀룰로오스, 코르크, 옥수수, 보리, 콩, 아마씨, 귀리, 밀, 쌀, 해바리기씨, 달걀 흰자위, 분유, 콩가루, 녹말, 설탕 등
탄소질 목탄, 역청단, 코크스, 갈탄, 이탄, 목재, 지류 등
화학 아디프산, 안트라퀴논, 칼슘 아세테이트, 칼슘 스테아레이트, 카복시메틸 셀롤로오스, 덱스트린, 락토오스, 스테아린산 납, 메틸셀룰로오스, 파라 포름알데히드, 소듐 아스코베이트, 소소듐 스테아레이트, 황 등
금속 알루미늄, 청동, 철카보닐, 마크네슘, 아연 등
플라스틱 폴리아크릴아마이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에틸렌, 에폭시 수지, 멜라민 수지, 페놀 셀룰로오스, 메틸아크릴레이트, 페놀수지, 폴리프로필렌, 테르펜 페놀수지, 요소-포름알데히드 셀루로오수,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부티랄,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크로라이드/비닐아세틸렌 공중합체 등

 

산업시설 내 분진폭발

분진은 연마, 분쇄, 절삭, 천공 등의 작업공정에서 고체물질이 파쇄되어 생긴 미세한 고체 입자로 크기가 150 μm 이하인 것을 말합니다. 

분진폭발은 공기 중에 떠도는 분진이 에너지를 받아 열과 압력이 발생하면서 연소, 폭발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분진폭발의 위험이 있는 업종은 목재 및 종이제품 제조업, 곡물 및 식품제조업, 금속 및 금속제품 제조업, 고무  관련 산업, 화학 공정 산업, 섬유 관련 산업 등이 있습니다.

분진폭발은 산소, 분진 연료, 공기 중에 떠다니는 부유분진, 정전기, 불꽃 등의 점화원, 한정된 밀폐공간 등의 조건일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석탄가루, 금속파편, 곡물가루, 설탕 등의 미세한 분진은 흩어지지 않고 겹겹이 쌓인다. 이런 분진들이 공장 내부 등의 공기 중에 떠다니다가 발화원에 따라 분진폭발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분진폭발은 주변의 물질을 파괴하는 1차 폭발도 있지만, 근처에 떠다니던 분진들이 대기로 확장되면서 발생하는 2차 폭발의 위력이 더 클 수 있습니다.

분진폭발 방지 대책

1. 분진 제거

→ 건축물의 바닥에 분진이 누적, 비산 되지 않도록 제때에 제거함

 

2. 분진 발생 설비의 구조 개선

→ 뚜껑 또는 밀폐구조 설치로 분진이 외부로 비산 되지 않도록 조치함

 

3. 금속 분리 장치 설치

→ 분쇄기의 입구에 스파크 발생 방지를 위한 금속 분리 장치를 설치함

 

4. 제진설비

→ 모든 분진 발생 설비를 제진설비 장치에 연결함 (제진설비 비가동 시 분진 발생 설비도 가동되지 않도록 연동조치 실시)

→ 여과포를 사용하는 제진 설비에 차압계를 설치함 (여과포는 전도성 소재로 구성)

→ 내부 고착물에 의한 열축적 등의 우려가 있다면 온도계를 설치함

 

5. 점화원 관리

→ 분진 발생 또는 분진 취급 지역에서 흡연 등 불꽃을 발생시키는 기기 사용을 금지함

 

6. 접지

→ 공기로 분진물질을 수송하는 설비 및 수송 덕트의 접속 부위에 접지를 실시함

 

7. 불활성가스 봉입

→ 질소 등의 불활성가스 봉입을 통해 산소를 폭발 최소 농도 이하로 낮춤

 

8. 폭발 방호장치 설치

→ 고속 자동 밸브, 폭발 압력 방산구, 폭발 억제장치 등을 설치함

산업용 방진마스크 등급에 따른 사용장소

• 특급

: 베릴륨 등과 같이 독성이 강한 물질들을 함유한 분진 등 발생장소, 석면 취급 장소

 

• 1급

: 금속흄 등과 같이 열적으로 생기는 분진 등 발생 장소

: 기계적으로 생기는 분진 등 발생 장소 (규소 등과 같이 2급 방진마스크를 착용해도 무방한 경우는 제외)

 

•2급

: 특급 및 1급 마스크 착용장소를 제외한 분진 등 발생장소

kassy

Recent Posts

[공정안전자료] 동력기계목록

▣ 동력기계목록 별지 제14호 서식   ▣ 기입대상     - 펌프류, 압축기류, FAN류, 교반기류, Crane/Hoist,…

3일 ago

휴대용 가스레인지(부탄캔) 사용

휴대용 가스레인지를 이용한다면 안전사고에 주의하자. 일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휴대용 가스레인지(부탄캔) 폭발사고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가스…

4일 ago

[공정안전자료] 법 제104조 유해인자 분류기준

산업안전보건법 제7장 유해ㆍ위험물질에 대한 조치 제1절 유해ㆍ위험물질의 분류 및 관리  제104조(유해인자의 분류기준) 고용노동부장관은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6일 ago

[공정안전자료] 유해·위험물질목록

[ 유해·위험물질목록, 별지 제13호 서식] _  [ KOSHA Guide 화학물질정보 작성예시 ] _  ▣ 기입대상물질 : 모든…

1주 ago

S마크 안전인증제도

▣ 안전인증제도(S 마크) 개요 S마크는 산업재해예방을 위한 임의인증제도입니다. 안전인증제도는 산업안전보건법 제84조제3항의 규정에 따라 제품의 안전성과…

2주 ago

링거액 발명

링거액은 포도당을 추가한 주사액으로 생리 식염수와 마찬 가지로 체액을 보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링거액은 1831년 개구리의 심장근육 수축력을…

3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