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안전보건공단
– 그림 D.2
– 그림 D.3
– 그림 D.4
– 폭발위험장소 구분은 플랜트 변경단계 또는 장치별 진척단계에 따라 다양한 구분방법 적용
*초기 개념설계 단계
1) 누출원에 관한 상세한 데이터가 없는 경우 적용할 수 있는 방법 : 간이법
2) 장치 분류, 플랜트 배치 및 경계 등을 결정하기 위하여 간이법이 적정
*설계 진행 단계
1) 누출원에 대한 상세한 데이터를 입수하면, 상세한 평가방법을 이용한 구분 실시
– 플랜트 내 유사한 장치 그룹 (파이프랙과 같은 플랜지 이용 배관) : 간이법
– 보다 중요한 잠재 누출원(릴리프 밸브, 벤트, 가스 압축기, 펌프 등) : 더 상세한 평가방법
KGS(Korea Gas Safety) Code는 가스관계법령에서 정한 시설, 기술, 검사 등의 기술적인 사항을 상세기준으로 정하여 코드화한 것으로 가스기술기준위원회에서 심의, 의결하고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승인한 가스안전 분야의 기술기준이다.
Ex) KGS GC101 2022 : Korea Gas Safety, General, Common, 고압가스제조, 3법 공통, 일련번호1, 2022년 작성
Dorak-mountain A Mountain of Serenity and Philosophy in Danyang, Korea Doraksan is a majestic mountain…
Is a Nap the Best Medicine??! According to a study from Harvard University, taking a…
HEALTH AND SAFETY POLICY COMMUNICATION Outline the various methods for communicating the contents of a health and safety policy to a workforce. The policy statement of intent should be • Posted on prominent notice boards throughout the workplace and • Brought to the attention of all employees at induction and refresher training sessions. . It can also be communicated to the workforce: • During team briefing session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