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ssy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및 소화용기에 대한 조치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및 소화용기에 대한 조치

[안전보건공단 Q&A 자료]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주요 질의사항 제628조의2,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와 관련하여 어떤 사항이 신설되었나요? -> 이번 개정법령에서는 이산화탄소를 소화약제로 사용하는 소화설비 취급 시 안전조치 사항을 상세히 규정 *이산화탄소 소화설비가 설치된 방호구역등 내 출입시 조치사항, 점검, 유지보수 시 조치사항 등을 이행하도록 하는 규정 신설(안전보건규칙 제628조의2) ∴ 제628조의2,  신설 규정의 ‘방호구역등’은 방호구역과 소화용기 보관장소를 모두 포함하는 건가요? […]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및 소화용기에 대한 조치 더 읽기"

용봉산 등산코스

2310. 13좌 용봉산(홍성)

♦ 용봉산 높이 381m. 용봉산은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면과 예산군 덕산면·삽교읍에 걸쳐있는 산으로 험하지도 않으나 산 전체가 기묘한 바위와 봉우리로 이루어져 충남의 금강산이라 불릴만큼 아름답습니다. 용의 몸집에 봉황의 머리를 얹은듯한 형상에서 용봉산이 유래되었으며 용봉산 정상에 오르면 예당평야와 수덕사를 품은 예산 덕숭산, 서산 가야산을 조망할 수 있습니다. 멀리서부터 용봉산이 눈에 바로 띄기 때문에 쉽게 찾을 수 있고

2310. 13좌 용봉산(홍성) 더 읽기"

오서산 등산코스

2310. 12좌 오서산(보령)

높이는 790m  금북정맥의 최고봉입니다. 예로부터 까마귀와 까치가 많이 살아 까마귀 보금자리[烏棲]라고 불렀고, 정상에 서면 서해안 풍경이 시원하게 보여 서해의 등대라고도 불렸답니다. 오서산 자연휴양림이 2001년부터 자리하고 있어 주차하기도 좋습니다. 입구에는 버스로 단체등산객이 많이 들어오고 있었습니다. 초행길인 저는 오서산 자연휴양림의 첫번째로 보이는 주차장이 오서산 자연휴양림 주차장으로 알고 주차하였는데, 오서산 자연휴양림 내 주차를 허용하기 때문에 주저하지 말고 차량을 갖고

2310. 12좌 오서산(보령) 더 읽기"

안면도 구매항 좌대낚시

서해안 안면도 구매항 바다좌대낚시

오뚜기 좌대에 다녀왔습니다. 쭈꾸미를 목표로 출발했으나 쭈꾸미는 구경하지 못했고, 갑오징어는 잊을만하면 옆에서 나와주더군요. 채비를 바꿔서 우럭 한마리를 올리긴 했는데, 거의 반년만에 던진 낚싯대의 조과에 비해서 터무니없는 결과였습니다. 우선, 태안 안면도 구매항으로 출발합니다. 구매항에 도착하고 선착장 아래에서 배를 탑승합니다. 예약한 좌대 대표번호로 전화하고 구매항 선착장 도착을 말씀드리면 곧 오시더라구요 금요일은 그래도 주차공간이 충분했으나 토요일은 차량이 정말

서해안 안면도 구매항 바다좌대낚시 더 읽기"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할론소화설비)

소화설비 –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할론소화설비)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개요 이산화탄소소화설비는 화재에 대해 질식 및 냉각효과에 의한 소화를 목적으로 이산화탄소를 고압용기에 저장해 두었다가 화재 시 수동조작 및 자동기동에 의해 배관을 통하여 화점에 이산화탄소 가스를 분사하여 화재를 소화하는 설비이다. 보통 대기 중에는 체적비로 산소가 21% 차지하고 있는 바 이를 약 15% 이하로 감소시키면 연소가 계속적으로 되지 못하고 소화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 또한 불연설가스에는

소화설비 –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할론소화설비) 더 읽기"

소화설비 - 스프링클러소화설비

소화설비 – 스프링클러소화설비

스프링클러설비의 종류 습식 스프링클러설비 : 송수펌프에서 폐쇄형 헤드까지 배관 내에 항상 물이 가압되어 있다가 화재 발생 시 폐쇄형 헤드가 열에 의하여 개방되어 소화하는 형태이다 건식 스프링클러설비 : 송수펌프에서 건식밸브 1차측까지 배관 내에 항상 물이 가압되어 있고 2차측부터 폐쇄형 헤드까지는 압축공기 또는 질소가스로 압축되어 있다가 화재 발생 시 폐쇄형 헤드의 개방으로 소화하는 형태이다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 : 송수펌프에서 준비작동밸브 1차측

소화설비 – 스프링클러소화설비 더 읽기"

소화설비 - 옥내소화전설비

소화설비 – 옥내소화전설비

옥내소화전설비 옥내소화전설비는 건축물 내부의 화재를 진화하는 수계소화설비로, 발화 초기에 자체요원에 의하여 사용되는 고정식 설비이다. ∴ 펌프 기동방식 수동기동방식 (on-off 스위치 방식) : 동파우려로 일반적으로 학교, 공장, 창고 등에 설치 자동기동방식 (기동용 수압개폐장치방식) : 기동용수압개폐장치는 옥내소화전설비 뿐만 아니라 스프링쿨러설비, 포소화설비, 물분무소화설비에서도 필수적인 기동방식 ∴ 옥내소화전설비 전원 – 상용전원회로의 배선 저압수전인 경우, 인입개폐기의 직후에서 분기하여 전용배선 특고압수전 또는 고압수전인 경우, 전력용 변압기 2차

소화설비 – 옥내소화전설비 더 읽기"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심사

비상전원설비

법령의 규정에 따른 비상전원이 필요한 설비 ∴ 전압의 종류 1) 인버터(inverter) –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장치 2) 2차전지 = 축전지, 전기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충전)하고 필요에 따라 이를 전기에너지로 다시 꺼내 쓸 수 있는(방전) 것으로, 1차전지와 다른 점은 충방전이 가능하다는 것이고 대표적인 예로는 연축전지와 알칼리축전지가 있다. ∴ 축전지의 종류 – 납축전지 : 납축전지는 자동차용이 아닌 것으로서

비상전원설비 더 읽기"

유도등 및 비상조명등 설비

유도등 및 비상조명등 설비

유도등 설비  :유도등 설비는 화재 발생시 인명의 안전을 위하여 비상탈출구 또는 피난을 위한 설비까지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등화나 표지등을 이용한 피난구유도등, 통로유도등, 객석유도등 등을 말한다. 유도등 배선의 연결 배선의 연결은 2선식과 3선식으로 구분 ∴ 객석유도등 객석의 통로, 바닥, 또는 벽에 설치하는 유도등 ∴ 피난구유도등 설치기준 옥내로부터 직접 지상으로 통하는 출입구 및 그 부속실의 출입구 직통계단, 직통계단의 계단실

유도등 및 비상조명등 설비 더 읽기"

무선통신보조설비

무선통신보조설비

무선통신보조설비의 종류 소방용 무선통신보조설비에는 공중선방식과 누설동축케이블방식이 있다 *누설동축케이블 : 일반적인 누설 동축 케이블은 안테나를 설치하기 어려운 지하공간 및 터널에 적용되며, 동축 케이블 외부도체에 신호 누설용 슬롯(Slot)이 형성되도록 가공하여 케이블 자체가 안테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합니다. RFCX Series(Coupled Mode) 누설 케이블은 동축 케이블의 외부도체에 인위적인 가공을 통하여 전자파를 흘려 케이블 주변으로 신호가 누설되는 원리를 적용해 만든 제품입니다.

무선통신보조설비 더 읽기"

비상콘센트설비

비상콘센트설비

비상콘센트설비 개요 고층 건축물은 구조상 특수성 때문에 창문이 거의 닫혀있는 상태가 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일단 불이 나면 연기가 건축물 내를 가득 채우게 되므로, 내부에 있는 사람의 피난이나 초기 소화활동에 많은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습니다. 또 고층 부분에는 사다리차도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소방관의 소화활동에도 힘든 상태입니다. 때문에 고층 건축물에는 당연히 다른

비상콘센트설비 더 읽기"

제연설비

제연설비

개요 화재에 의한 사상자 중 연기에 의한 건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때문에 화재 시에 있어서는 연기의 처리방법이 여러 가지로 논의되고 있습니다. 방연계획은 그 자체의 단독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소화활동이나 피난계획과 관련하여 종합적인 방재계획으로 계획되어야 할 것 입니다. 제연구역의 구획 하나의 제연구역의 면적은 1,000㎡ 이내로 할 것 거실과 통로(복도를 포함)는 상호 제연구획할 것 통로상의 제연구역은

제연설비 더 읽기"

비상경보설비 및 비상방송설비

비상경보설비 및 비상방송설비

비상경보설비 화재상황 시 발신기를 통하여 당해 소방대상물의 관계자에게 화재의 발생을 통보하여 주며, 경종 또는 사이렌으로 각층의 거주자에게 통보하는 경보설비 비상경보설비의 종류 비상벨 자동식 사이렌 단독경보형감지기의 설치기준 각 실(바닥면적 각각 30m2 미만)마다 설치하되, 바닥면적이 150m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150m2마다 1개 이상 설치. 비상방송설비의 설치기준 확성기의 음성입력을 3와트 (실내에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는 1와트) 이상일 것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비상경보설비 및 비상방송설비 더 읽기"

누전경보기

누전경보기

  누전경보기 누전경보기는 600V 이하인 전기 배선이나 전기기기의 부하측이 사고로 인하여 누전이 발생할 경우 자동적으로 경보를 발할 수 있도록 한 설비로서 누설전류를 검출하는 변류기(CT), 누설전류를 받아 증폭하는 수신기, 경보를 발하는 음향장치 및 차단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변류기, 수신기, 음향장치, 차단기 ∴ 용어의 정의 – 누전경보기 내화구조가 아닌 건축물로서 벽, 바닥, 또는 천장의 전부나 일부를 불연재료

누전경보기 더 읽기"

자동화재속보설비

자동화재속보설비

*자동화재속보설비 – 20초 이내 속보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종류 – A형 화재 속보기   P형수신기로부터 발하는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20초 이내에 소방대상물의 위치를 3회 이상 소방관서에 자동적으로 통보하여 주는 것으로 지구등은 없음   – B형 화재 속보기    P형수신기와 A형 화재 속보기의 기능을 통합한 것으로, 감지기,발신기의 신호 또는 중계기를 통하여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화재발생을 당해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자에게 통보해준다.

자동화재속보설비 더 읽기"

자동화재탐지설비

자동화재탐지설비

수신기 »설치기준 수위실 등 상시 사람이 근무하는 장소에 설치 할 것 수신기가 설치된 장소에는 경계구역 일람도를 비치할 것 수신기의 음향기구는 그 음량 및 음색이 다른 기기의 소음 등과 명확히 구별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수신기는 감기지, 중계기, 발신기가 작동하는 경계구역을 표시할 수 잇는 것으로 할 것 화재,가스,전기등에 대한 종합방재반을 설치한 경우에는 당해 조작반에 수신기의

자동화재탐지설비 더 읽기"

소방설비기사 전기

2018년 소방설비기사 전기부분 실시 – 단답형

P형 수신기의 예비전원을 시험하는 방법과 양부판단의 기준 ▶ 시험방법 : 상용전원 및 비상전원이 사고 등으로 정전된 경우, 자동적으로 예비전원으로 전환되며, 정전복구시에 자동적으로 상용전원으로 전환되는지의 여부를 다음에 따라 확인 – 예비전원시험 스위치를 누른다 – 전압계의 지시치가 지정치의 범위 내에 있는지 확인 – 교류전원을 개로하고 자동전환 릴레이의 작동상황 조사 ▶ 양부판단의 기준: 예비전원의 전압, 용량, 전환상황 및 복구작동이 정상일 것

2018년 소방설비기사 전기부분 실시 – 단답형 더 읽기"

방독마스크 종류

방독마스크 사용지침

방독마스크는 언제 사용할까요? 작업장에 발생하는 유해가스, 증기 및 공기 중에 부유하는 미세한 입자물질을 흡입해서 인체에 장해를 유발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 사용하는 보호구 입니다. 방독마스크는 호흡용보호구에 포함되는데 호흡용 보호구는 여러종류가 있습니다.   ∴ 방독마스크에 사용되는 정화통의 표시색 구분입니다   ∴ 또한 방독마스크는 등급에 따라 사용장소를 달리하고 있습니다. ∴ 방독마스크 정화통 선정할 때에는 아래 사항을 꼭 확인하시길

방독마스크 사용지침 더 읽기"

비상구설치 - 빅토리아 홀 참사

비상구설치 – 빅토리아 홀 참사

비상구설치 – 빅토리아 홀 참사 영국 잉글랜드 선덜랜드의 빅토리아 홀은 1872년에 지어진 건물로 3,000명의 관객을 수용할 수 있었다. 빅토리아 홀은 갤러리와 3층까지 관객석이 있는 공연장이 있어 콘서트, 종교행사, 연극 등이 열렸다. 1883년 6월 16일, 빅토리아 홀에서는 ‘지금까지 없었던, 아이들을 위한 최고의 선물’이란 주제로 마리오네트와 마술 공연이 진행됐다. 이날 2,000명 넘는 관객이 모였으며 공연이 끝나고 장난감을

비상구설치 – 빅토리아 홀 참사 더 읽기"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심사

제조업 등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심사, 확인 제도

제조업 등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심사·확인 제도 재해발생 위험이 높은 업종의 사업장 일체 또는 특정한 기계·기구 및 설비를 설치·이전하거나 그 주요 구조부분을 변경하려는 경우 해당 사업주가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작성·제출하여 심사·확인을 받음으로써 사업장의 근원적인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법정 제도 ※ 산업안전보건법 제42조 (유해·위험방지계획서의 작성·제출 등) 및 제43조(유해·위험방지계획서 이행의 확인 등) ▷미제출 시 1,0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제출대상 사업장 ▣ 다음 13개 업종의 어느

제조업 등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심사, 확인 제도 더 읽기"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