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fety

유해위험방지계획서 심사

비상전원설비

법령의 규정에 따른 비상전원이 필요한 설비 ∴ 전압의 종류 1) 인버터(inverter) – 직류전력을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장치 2) 2차전지 = 축전지, 전기에너지를 화학에너지로 변환하여 저장(충전)하고 필요에 따라 이를 전기에너지로 다시 꺼내 쓸 수 있는(방전) 것으로, 1차전지와 다른 점은 충방전이 가능하다는 것이고 대표적인 예로는 연축전지와 알칼리축전지가 있다. ∴ 축전지의 종류 – 납축전지 : 납축전지는 자동차용이 아닌 것으로서 […]

비상전원설비 더 읽기"

유도등 및 비상조명등 설비

유도등 및 비상조명등 설비

유도등 설비  :유도등 설비는 화재 발생시 인명의 안전을 위하여 비상탈출구 또는 피난을 위한 설비까지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등화나 표지등을 이용한 피난구유도등, 통로유도등, 객석유도등 등을 말한다. 유도등 배선의 연결 배선의 연결은 2선식과 3선식으로 구분 ∴ 객석유도등 객석의 통로, 바닥, 또는 벽에 설치하는 유도등 ∴ 피난구유도등 설치기준 옥내로부터 직접 지상으로 통하는 출입구 및 그 부속실의 출입구 직통계단, 직통계단의 계단실

유도등 및 비상조명등 설비 더 읽기"

무선통신보조설비

무선통신보조설비

무선통신보조설비의 종류 소방용 무선통신보조설비에는 공중선방식과 누설동축케이블방식이 있다 *누설동축케이블 : 일반적인 누설 동축 케이블은 안테나를 설치하기 어려운 지하공간 및 터널에 적용되며, 동축 케이블 외부도체에 신호 누설용 슬롯(Slot)이 형성되도록 가공하여 케이블 자체가 안테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합니다. RFCX Series(Coupled Mode) 누설 케이블은 동축 케이블의 외부도체에 인위적인 가공을 통하여 전자파를 흘려 케이블 주변으로 신호가 누설되는 원리를 적용해 만든 제품입니다.

무선통신보조설비 더 읽기"

비상콘센트설비

비상콘센트설비

비상콘센트설비 개요 고층 건축물은 구조상 특수성 때문에 창문이 거의 닫혀있는 상태가 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 일단 불이 나면 연기가 건축물 내를 가득 채우게 되므로, 내부에 있는 사람의 피난이나 초기 소화활동에 많은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습니다. 또 고층 부분에는 사다리차도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소방관의 소화활동에도 힘든 상태입니다. 때문에 고층 건축물에는 당연히 다른

비상콘센트설비 더 읽기"

제연설비

제연설비

개요 화재에 의한 사상자 중 연기에 의한 건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때문에 화재 시에 있어서는 연기의 처리방법이 여러 가지로 논의되고 있습니다. 방연계획은 그 자체의 단독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소화활동이나 피난계획과 관련하여 종합적인 방재계획으로 계획되어야 할 것 입니다. 제연구역의 구획 하나의 제연구역의 면적은 1,000㎡ 이내로 할 것 거실과 통로(복도를 포함)는 상호 제연구획할 것 통로상의 제연구역은

제연설비 더 읽기"

비상경보설비 및 비상방송설비

비상경보설비 및 비상방송설비

비상경보설비 화재상황 시 발신기를 통하여 당해 소방대상물의 관계자에게 화재의 발생을 통보하여 주며, 경종 또는 사이렌으로 각층의 거주자에게 통보하는 경보설비 비상경보설비의 종류 비상벨 자동식 사이렌 단독경보형감지기의 설치기준 각 실(바닥면적 각각 30m2 미만)마다 설치하되, 바닥면적이 150m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150m2마다 1개 이상 설치. 비상방송설비의 설치기준 확성기의 음성입력을 3와트 (실내에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는 1와트) 이상일 것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비상경보설비 및 비상방송설비 더 읽기"

누전경보기

누전경보기

  누전경보기 누전경보기는 600V 이하인 전기 배선이나 전기기기의 부하측이 사고로 인하여 누전이 발생할 경우 자동적으로 경보를 발할 수 있도록 한 설비로서 누설전류를 검출하는 변류기(CT), 누설전류를 받아 증폭하는 수신기, 경보를 발하는 음향장치 및 차단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변류기, 수신기, 음향장치, 차단기 ∴ 용어의 정의 – 누전경보기 내화구조가 아닌 건축물로서 벽, 바닥, 또는 천장의 전부나 일부를 불연재료

누전경보기 더 읽기"

자동화재속보설비

자동화재속보설비

*자동화재속보설비 – 20초 이내 속보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종류 – A형 화재 속보기   P형수신기로부터 발하는 화재신호를 수신하여 20초 이내에 소방대상물의 위치를 3회 이상 소방관서에 자동적으로 통보하여 주는 것으로 지구등은 없음   – B형 화재 속보기    P형수신기와 A형 화재 속보기의 기능을 통합한 것으로, 감지기,발신기의 신호 또는 중계기를 통하여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화재발생을 당해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자에게 통보해준다.

자동화재속보설비 더 읽기"

자동화재탐지설비

자동화재탐지설비

수신기 »설치기준 수위실 등 상시 사람이 근무하는 장소에 설치 할 것 수신기가 설치된 장소에는 경계구역 일람도를 비치할 것 수신기의 음향기구는 그 음량 및 음색이 다른 기기의 소음 등과 명확히 구별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수신기는 감기지, 중계기, 발신기가 작동하는 경계구역을 표시할 수 잇는 것으로 할 것 화재,가스,전기등에 대한 종합방재반을 설치한 경우에는 당해 조작반에 수신기의

자동화재탐지설비 더 읽기"

소방설비기사 전기

2018년 소방설비기사 전기부분 실시 – 단답형

P형 수신기의 예비전원을 시험하는 방법과 양부판단의 기준 ▶ 시험방법 : 상용전원 및 비상전원이 사고 등으로 정전된 경우, 자동적으로 예비전원으로 전환되며, 정전복구시에 자동적으로 상용전원으로 전환되는지의 여부를 다음에 따라 확인 – 예비전원시험 스위치를 누른다 – 전압계의 지시치가 지정치의 범위 내에 있는지 확인 – 교류전원을 개로하고 자동전환 릴레이의 작동상황 조사 ▶ 양부판단의 기준: 예비전원의 전압, 용량, 전환상황 및 복구작동이 정상일 것

2018년 소방설비기사 전기부분 실시 – 단답형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