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fety Training

배관 설계서 작성의 방법

배관 설계서 작성의 방법

▣ Line Schedule 배관계통의 공정에는 많은 Line과 기기의 연결로 되어있음 Line을 흐르는 유체도 여러 종류로 구분 유체별로 번호를 부여, 리스트화 한 것 유체형태, 온도, 압력, 보온유무, 두께, 운전조건 등 기입 각 Line에 대한 배관설계에 중요한 지침 배관설계서 이전에 작성 설계의 시작점과 끝점이기에 공정 설계팀의 협조 필수조건   . ▣ Plat Plan 공정에 대하여 필요한 모든 […]

배관 설계서 작성의 방법 더 읽기"

배관 응력

배관 설계서 작성의 개요

▣ 배관설계 부서의 역할 해당 Project의 배관계통의 설계계산서 작성 요구되는 설계조건의 사양서 작성 배관계통의 응력해석 및 검토 선정된 기자재의 승인 및 Technical Evaluation (기술평가) . ▣ 배관설계 조직   . ▣ 배관설계의 정의 배관설계는 공정에서 규정한 절차에 따라 적절한 배관부품을 이용하여 기기와 기기를 연결해 나가는 설계과정을 총칭 기기들이 최상의 운전성능이 유지되고 Plant 를 효율적으로 운전하는데

배관 설계서 작성의 개요 더 읽기"

STEAM TRAP 기능

TRAPS

▣ STEAM TRAP의 사용 목적 – 증기와 응축수를 공학적 원리와 내부 구조에 의해 구별하여 자동으로 응축수를 배출시켜 효율적으로 증기를 사용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일정의 자동 Valve 형태 . ▣ STEAM TRAP 의 성능 수준 및 설계 품질 증기 공간 내에서 증기가 응축하여 발생된 응축수를 제거하고 증기의 누출은 없도록 설계 되어야 함 공기와 CO2 등 비응축성

TRAPS 더 읽기"

strainer 배관 이물질 제거

STRAINER (여과기)

▣  STRAINER 사용 목적 – 배관 속에 흐르는 유체의 불순물이나 공장건설 당시 배관 속에 들어있는 이물질 또는 오물찌꺼기를 제거하여 중요 설비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 . ▣ Y-Type Strainer . ▣ TEMPORARY STRAINER – 시운전 기간에 Pump나 Compressor Suction Line, Control Valve Inlet 및 기타의 기자재에 임시로 설치, 사용 후에 분리할 수 있는 Type   . ▣

STRAINER (여과기) 더 읽기"

valves

VALVES (2)

[CHECK VALVE와 PLUG VALVE] ▣ CHECK VALVE의 종류 1) Swing Type Disc Check Valves 2 2) Tilting Type Disc Check Valves 2 3) Lift Type Disc Check Valves 2 4) Screw Down Non-return Check Valves 2 5) Dual Plate (Butterfly) Check Valves 2 . ▣ Swing Type Disc Check Valves 2 체크밸브 중에서 가장 많이

VALVES (2) 더 읽기"

Valve 종류 기능

VALVES (1)

▣ VALVE의 의미 배관 또는 기기 사이에 장치되어 유체 차단 및 유량 조절하는 중요한 기계적 장치 통칭 유체에서 물리적으로 표현되는 압력, 온도 및 유체의 속도 즉, 유량을 조정하는데 사용 배관계의 유체 흐름을 각각의 공정에서 요구하는 유체의 물리적 조건과 양에 맞도록 각 제어단위의 마지막 단계에서 유체 흐름을 제어하는 가장 일반적이고 중요한 제어요소 (Control Component) . ▣

VALVES (1) 더 읽기"

GASKET

GASKET 및 BOLTS & NUTS

▣ GASKET 일반 누설방지장치 부품의 일종이며 압력용기, Flange, 기계요소의 고정 접합면에 Bolt 등으로 체결하여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유체의 종류, 압력 온도 등의 사용 상태에 따라 여러 종류의 형상, 재질 등이 사용 Flat Face : 저압용(16kg/㎠이하), Sheet Gastket (Full Face) Raised Face : 고온, 저압용 (63 kg/㎠이하), Sheet Gasket (Flat Ring), S/W Gasket Male &

GASKET 및 BOLTS & NUTS 더 읽기"

FITTING 종류

Fitting & Flange

▣ FITTING의 정의 및 분류 단면이 원형 또는 다각형이며 내부가 공간인, Flowing Media 또는 Transiting Pressure를 Conveying 할 수 있는 일정한 길이를 갖추고 있는 관 배관부품의 설계 시 매우 중요한 요소 이음방법과 재질에 따라 분류하여 설계에 적용해야 함 ▣ FITTING의 종류 및 용도 BUTT WELD FITTING (B.W) : 90º Elbow, 45º Elbow, Weld Tee, Stub-In,

Fitting & Flange 더 읽기"

배관의 분류

P.M.C, Tube, & Pipe 개요

▣ P.M.C 정의와 개요 Piping Material Classification의 약어 배관자재 등급의 지정을 뜻함 해당 Project 의 Material Specification (자재사양서) 작성은 Material Slection(자재의 원재료 선정) 이후에 논의를 거쳐 진행해야 하는 매우 중대한 사안 ▣ P.M.C 및 P.M.S 작성방법 Purpose and Scope Codes, Standards and Regulations Units Piping Classification Standards For Ganerally Used Materials . ▣ 파이프의 정의

P.M.C, Tube, & Pipe 개요 더 읽기"

스팀배관

STEAM PIPING DESIGN CRITERIA

▣ General 1) 개요 설계 단계에서 증기나 물의 역류에 의한 터빈유입으로부터 증기터빈을 보호하기 위해 특별한 주의가 필요함 (발전소의 운전정지 원인이 됨) . 2) 적용 대상 Steam & Water Cycle의 설계요건을 따라야 하고, 추기 배관에 설치되는 배수 방식, 체크밸브 및 차단밸브의 정확한 숫자는 설계 대상 발전소의 P&ID에 따라서 설계해야 함 추기 배관의 밸브의 위치 추기 배관의

STEAM PIPING DESIGN CRITERIA 더 읽기"

배관응력 해석

배관 응력 설계 기준

▣ 배관응력 해석 및 지지물 설계 기준 개요 계통 흐름도(P&ID)에 따라 배관 배치시, 배관계의 유연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배관 및 지지물의 설계기준과 업무 수행절차를 기술하고 규정함 ▣  응력 해석 대상 및 기준 유체의 압력, 온도, 계통 중요성에 의해 배관 응력해석 대상기준을 적용함. 온도 적용 배고나계에 발생 가능한 최고 운전온도를 응력해석 시 반영 (대기온도 21) 1)

배관 응력 설계 기준 더 읽기"

배관 배치 일반 기준

배관계 배치 기준

▣ 일반 배치 기준 배관은 기기 배치도 (G/A) 기준으로 계통 흐름도 (P&ID)에 따라 배치 배관은 운전 및 보수공간, 공간활용 측면, 미관 등을 고려하여 최단 거리로 배치하며, 고온 배관은 열팽창 및 수축을 흡수할 수 있는 유연성 유지 고온 및 대구경 배관은 유연성, 경제성, Support 위치 등을 고려하여 우선 배치하고 소구경 배관은 나중에 배치 (그룹배치 및 지지)

배관계 배치 기준 더 읽기"

배관 설계 기준

배관 보온 설계 기준

▣ 밸브 선정 각 계통의 밸브는 Master Valve List 및 Piping Material Classification에 따라 선정하고, 운전조작 및 안전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에 설치함 밸브의 압력 및 온도 등급은 ASME B16.34 또는 관련 규격에 따름 밸브의 재질선정 및 제작규격은 ASME, ASME의 설계기준 적용, 밸브의 End To End Dimension는 ASME B16.10 기준에 따름 밸브는 설치되는 배관과 동일한 구경으로

배관 보온 설계 기준 더 읽기"

배관 설계 기준

Piping Design Standards

▣ Overview and Scope Overview This design standard reflects the Code & Standard for piping design of power plants and the design requirements specified in the contract. It is a standard that stipulates functional adequacy and structural integrity of piping system components when designing piping systems. The technical contents and application standards of this design standard

Piping Design Standards 더 읽기"

배관 설계 기준

배관 설계 기준서

▣ 개요 및 적용 범위 – 개요 본 설계기준서는 발전플랜트의 배관설계에 대한 Code & Standard와 계약서에 기술된 설계 요구조건을 반영한 설계기준으로 배관 계통을 설계할 때 배관계 구성요소의 기능적인 적정성(Functional Adequacy)과 구조적인 안정성(Structural Integrity)을 충족시키도록 규정한 기준서로서 설계 기준서의 기술내용과 적용기준을 모든 설계 성과품 작성 시에 반영해야 함 – 적용범위 발전소 각 계통의 배관설계에 적용되는 기준으로서

배관 설계 기준서 더 읽기"

친환경 발전소

신개념 발전소 설비

▣ 목적 및 주요 검토 내용 – 개요 : 발전소의 Plot Plan 설계 시 발전설비는 지하공간에 배치하고, 지상부지는 문화공간 및 에너지 테마공원으로 하여 환경 친화적으로 계획 검토 – 주요 검토 내용 1) 환경 친화적 발전소 배치계획 수립  → 도심속에 자연 친화적인 발전소의 구상으로 쾌적한 환경 유지와 신재생 에너지 테마공원 조성을 계획하고자 검토함 ⋅ 2) 환경

신개념 발전소 설비 더 읽기"

value engineering

발전소 PLOT PLAN 설계의 VE효과

▣ VE 개념 – Value Engineering (VE:가치공학)은 GE가 Value Analysis(VA:가치분석)로 개발하여 미국 국무부가 VE로 명칭을 변경하였고 모든 군납품업체가 VE를 도입하면서 미국 전 산업계에 보급되는 계기가 됨 – 한국은 가전업계가 VE를 도입하여 효과가 검증된 후 대기업으로 확산됨 – 한국 VE중앙추진본부 설립, 한국표준협회의 품질관리, 한국능률협회의 원가절감 차원으로 VE가 활성화 되면서 한국에 적합한 VE기법으로 발전하게 됨 – VE는

발전소 PLOT PLAN 설계의 VE효과 더 읽기"

발전설비계통

Overview of Power Plant Main Facilities and Systems (2)

▣ Steam Turbine Auxiliary Equipment 1) Condenser – Consists of two shells, expanding the turbine exhaust steam into a vacuum state through heat exchange with the cooling water on the tube side, maximizing the steam’s thermal drop to improve turbine efficiency and reuse the condensate as feedwater. – By installing the low-pressure feedwater heaters No. 1 and 2 on each shell neck, efficient use of space and reduction in pressure drop of extraction steam piping is achieved. The turbine exhaust section and condenser are connected by an expansion joint. 2) Condensate Pump – When the exhaust from the steam

Overview of Power Plant Main Facilities and Systems (2) 더 읽기"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