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 배치 기준

  • 배관은 기기 배치도 (G/A) 기준으로 계통 흐름도 (P&ID)에 따라 배치
  • 배관은 운전 및 보수공간, 공간활용 측면, 미관 등을 고려하여 최단 거리로 배치하며, 고온 배관은 열팽창 및 수축을 흡수할 수 있는 유연성 유지
  • 고온 및 대구경 배관은 유연성, 경제성, Support 위치 등을 고려하여 우선 배치하고 소구경 배관은 나중에 배치 (그룹배치 및 지지)
  • 기울기를 가진 주요 계통 배관, 대구경, 합금강 및 주증기 배관을 제외하고 동서 및 남북방향이 교차하는 경우는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
  • 운전실(Control Room), 전기실(Electric Room) 등에는 배관 관통 및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배관 배치
  • 건물벽, 바닥 및 지붕에 배관 통과 시 Sleeve 설치와 모든 Roof Sleeve에는 Weather Proof Shield로 처리 (크기 및 위치는 설계 담당자와 협의하고 운전 중에 예상되는 배관의 최대 변위량 고려)
  • 배관은 기기 배치도(G/A) 기준으로 계통 흐름도 (P&ID)에 따라 배치
  • 배관은 운전 및 보수공간, 공간활용 측면, 미관 등을 고려하여 최단 거리로 배치하며, 고온 배관은 열팽창 및 수축을 흡수할 수 있는 유연성 유지
  • 고온 및 대구경 배관은 유연성, 경제성, Support 위치 등을 고려하여 우선 배치하고 소구경 배관은 나중에 배치 (그룹배치 및 지지)
  • 기울기를 가진 주요 계통 배관, 대구경, 합금강 및 주증기 배관을 제외하고 동서 및 남북방향이 교차하는 경우는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
  • 운전실(Contol Room), 전기실(Electric Room) 등에는 배관 관통 및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배관 배치
  • 건물벽, 바닥 및 지붕에 배관 통과 시 Sleeve 설치와 모든 Roof Sleeve에는 Weather Proof Shield로 처리(크기 및 위치는 설꼐 담당자와 협의하고 운전 중에 예상되는 배관의 최대 변위량 고려)
  • 보온 배관은 보온 두께를 가산하여 배관 간격을 조절하고, 운전 중 열팽창이 예상되거나 Orifice플랜지가 있으면 배관 간격을 증가시킴
  • Piperack은 후속 배관 설치를 감안하여 최소 15% 여유 공간을 확보하며, Pipe Support설계 시 비보온 배관은 배관 바닥면 기준으로 보온 배관은 Pipe Shoe 바닥면 기준으로 배관 높이를 일치시킴
  • Vent 및 Drain의 특별한 설계 기준이 없으면 ASME B16.5 600 Class 이하는 Single Block Valve를, ASME B16.5 900 Class 이상은 Two Block Valve를 설치
  • 펌프, 터빈, 압축기, 열교환기 연결 배관은 Stress와 Reaction이 최소화 되도록 설계해야 하며, 제작자의 Stress허용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설계
  • Steam Line의 Pressure Relief Valve의 출구 배관은 바닥으로부터 최소3100mm 이상의 높이에 설치

▣ 배관 및 기기 사이의 간격

  • 기기와 배관, 배관과 배관의 간격은 설치, 운전 및 유지 보수요건에 적합하도록 배관을 배치 (열팽창에 의한 최대 변위량 고려)
  • 옥내 배관 설계 시 보 하부와 배관 및 배관 보온재 상부 사이에 최대 변위를 고려하여 Duct 및 Cable Tray 설치 공간이 확보되도록 배치 (배관 상부에 배치하지 않음)
  • 기기 주변 배관은 기기의 유지 보수 및 운전에 필요한 공간 확보 (복수기, 열교환기 등의 Tube Bundle 인출 시 필요 공간 확보)
  • 모든 배관은 운전 및 정지위치, 덮게 및 장치 등을 고려하여 바닥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높이를 유지하도록 설계

– 보도구역 : 2.1m

– 옥외구역 및 보수통로 : 3.0m

– 도로 및 공사용 차량 진입 : 5.0m

.

▣ 배기구 및 배수구

  • 기기 및 배관은 자연 배수가 되도록 하고 가능한 한 배수구 술자를 줄일 것
  • 증기 배관의 기울기 방향은 유체 흐름 방향과 일치하도록 하고, 주배관과 동일한 재질을 사용
  • 증기 배관은 어떠한 운전 조건하에서도 배수가 되도록 하고, 배수구 쪽으로 2%(최소1%) 정도의 기울기를 주며 배관의 열팽창량을 고려
  • 모든 밸브는 각 층의 바닥이나 Platform위에서 조작이 용이하게 배치
  • 제어밸브(Control Valve)와 바이패스 밸브, 차단 밸브는 보수시 해체가 용이하도록 보수 공간을 확보하고 바닥 위 혹은 Platform안쪽에 설치
  • 모든 수동밸브는 Stem을 가능한 한 수직 방향으로 설치하고 (수평 높이 이상 유지), Control Valve는 Stem 이 수직이 되게 수평 배관에 설치
  • Water Type 체크밸브가 버터플라이 밸브에 가까이 설치 될 경우 내부 디스크 끼리 간섭되지 않도록 일정 거리를 유지
  • 모든 밸브 구동장치는 접근이 용이하고, 분해에 필요한 공단을 확보하고, 전동밸브의 Position Indicator와 바이패스 밸브는 확인 및 접근이 용이한 곳에 설치

.

▣ 밸브

  • 모든 밸브는 각 층의 바닥이나 Platform위에서 조작이 용이하게 배치
  • 제어밸브(Control Valve)와 바이패스 밸브, 차단 밸브는 보수시 해체가 용이하도록 보수 공간을 확보하고 바닥 위 혹은 Platform 안쪽에 설치
  • 모든 수동밸브는 Stem을 가능한 한 수직 방향으로 설치하고 (수평 높이 이상 유지), Control Valve 는 Stem이 수직이 되게 수평 배관에 설치
  • Wafer Type 체크밸브가 버터플라이 밸브에 가까이 설치될 경우 내부 디스크 끼리 간섭되지 않도록 일정 거리를 유지
  • 모든 밸브 구동장치는 접근이 용이하고, 분해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고, 전동밸브의 Position Indicator와 바이패스 밸브는 확인 및 접근이 용이한 곳에 설치

.

▣ 펌프 배관

  • 펌프의 수평 흡입배관은 Top Flat Eccentric Reducer을 사용 (운전 중 기포 발생 방지)
  • 펌프 연결 배관은 배관의 열팽창, 자중으로 인하여 펌프 케이싱에 무리한 하중 작용 방지
  • 체크밸브와 차단밸브는 펌프 출구측 가까이에 설치하고, 체크밸브는 차단 밸브 가까이에 설치
  • 펌프 흡입 배관은 공기 포켓이 생기지 않도록 단거리로 배치하고, 펌프의 NPSH를 만족시키도록 배치

kassy

Recent Posts

소화기 발명

군대에서 태어난 소화기 연소의 3요소 중에서 한 가지라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면 불은 즉시 꺼진다.…

1일 ago

푸꾸옥, 혼똔섬 워터파크 (Aquatopia)

푸꾸옥에 가면 북부에는 빈 그룹, 남부에는 선 그룹이 크게 차지하고 있는데요. 저는 남부에 하루를 보냈습니다.…

1일 ago

푸꾸옥, 꿀벌농장

베트남 가랑비! 공항으로 돌아가야 하는 날이였는데, 비행시간이 오후로 여유가 있어 짧은 관광으로 이곳 저곳 들렸습니다.…

4일 ago

푸꾸옥, 포로수용소 박물관

이 감옥은 1949년부터 1975년 4월 사이공 함락 때까지 사용되었습니다. 프랑스로 정치적 반체제 인사 구금 시설로…

5일 ago

푸꾸옥, 쌀국수

그냥 쌀국수가 아입니다. 해산물 쌀국수 -> 분 꿔이 끼엔-써이 Bún quậy Kiến-Xây ( A-C noodles ) 푸꾸옥의 쌀국수는 좀…

6일 ago

베트남, 푸꾸옥 – 혼똠 케이블카

한지붕 세가족으로 베트남 푸꾸옥 여행을 계획하고 다녀왔습니다. 24년 송년회에서 화두가 되어 자신있게 추진한 계획이었는데, 시간이…

1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