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 및 적용 범위

1) 개요

각 역무 수행 주체와 적용 범위, 설계 추진방향 등을반영하여 설계 계획 수립

2) 적용 범위

설계 기본계획 및 프로젝트 운영계획, 설계 진도 관리체계 운영지침으로 적용

3) 적용 요건

설계 역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담당자를 선정하여 설계 수행조직 구성

4) 설계 담당자의 역할

담당업무 내용파악, 업무 조정 및 협의를 통한 협조체제 구축과 협력관계 유지

▣ 주요 역무별 추진 방향

1) 개요

프로젝트 역무 내역, 기술 특기사항, 용역 기간 등 확인 후 설계 계획 수립 역무 수행

– 설계 범위 및 역무 내용 확인

– 설계 기준서 작성

– 설계 입출력 목록 자성

– 설계 투입인력 선정

– 교육, 훈련계획 수립

– 설계도서 및 도면 목록 작성

2) 설계범위 및 역무내용 확인

프로젝트 적기 준공, 성공적인 용역 수행을 위해 설계 요구조건과 역무내용, 기술 특기사항을 확인하여 설계 계획 수립에 반영

3) 수행업무 및 작성자료

설계기준서 작성, 설계 입출력 목록 작성, 설계 투입 인력선정, 교육 및 훈련계획 수립, 설계도서 및 도면목록 작성 등의 설계 계획 수립에 필요한 업무 수행

4) 배관설계 성과품의 작성계획 수립

– 설계 범위 및 수집자료 (부지여건 및 운전 현황 등) 반영하여 설계 성과품 작성계획 수립

– 전체 건설공정에 따라 성과품의 작성 및 제출 일자 확정 관리

5) 설계 추진 기본 방향

– 설계 성과품 작성, 설계 입력자료 접수, 업체 및 부서간 업무협의, 참고자료 활용, 성과품 품질관리, 업무 표준화,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의 제반 설계업무 관리 및 운영에 활용

6) 설계 중점 사항

– 경제성, 안정성, 신뢰성, 운전성, 유지보수성, 시공성, 접근성 등 고려

– 적용 규격 및 표준(Code & Standard), 설계 요구조건 준수하여 설계 

– 3D 모델링에 의한 Design Review, Coordination업무 수행 (설계 오류 방지 및 협의 용이)

▣ 설계 추진 기본 방향

설계 성과품 작성, 설계 입력자료 접수, 업체 및 부서간 업무협의, 참고자료 활용, 성과품 품질관리, 업무 표준화,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의 제반 설계업무 관리 및 운영에 활용

▣ 설계 중점 사항

1) 설계 중점 사항

– 경제성, 안정성, 신뢰성, 운전성, 유지보수성, 시공성, 접근성 등 고려

– 적용 규격 및 표준(Code & Standard), 설계 요구조건 준수하여 설계

– 3D 모델링에 의한 Design Review, Coordination업무 수행 (설계 오류 방지 및 협의 용이)

2) 설계 계획 수립에 필요한 참고 자료

– 주요 참고 내용

  • 설계 적용 규격 및 표준(Code & Standard)
  • 설계 조건, 역무 범위 및 내역, 특기사항
  • 전문 분야 또는 신기술 분야

– 주요 참고 내용

  • 적용 규격 및 표준
  • 기존호기 신설호기 역무 구분
  • DIVISION of WORK(Piping)
  • Month Schedule
  • 설계수행계획용 Master Drawing List
  • 용역 세부 시행 계획
  • Engineering Detail Schedule

▣ 설계 기준서 작성

1) 개요

– 설계 요구조건, 역무내역 및 기술 특기사항 확인하여 설계 기준서 작성

– 설계 기준 및 지침서로 활용(주기기 ITB, 보조기기 입찰설명서에 반영)

– 모든 설계 성과품의 설계 입력 요건으로 반영

2) 적용 범위

– 설계 기준서의 기술내용 및 적용기준을 각종 설계 성과품에 반영함

▣ 수행 역무

1) 역무 내용

– 각 분야별 세부 적용기준 기술하여 작성 (설계 개요, 적용범위, 적용규격 및 표준, 일반 설계 및 배관 배치기준, 배관 응력해석 및 지지물 설계기준 반영)

2) 세부 추진 목표

– 설계 조건 및 역무내역, 기술 특기사항 등 확인 반영

– 설계 적용 규격 및 표준(Code & Standard) 등 확인 반영

– Site Survey 및 관련 시설견학 시 수집 자료(부지 여건 및 운전 현황 등) 확인 반영

▣ 설계 입·출력 목록 작성

1) 개요

– 설계 역무내역, 기술 특기사항 확인 후 설계 입력 자료를 관련 부서에 요청하고 접수 현황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설계 입출역 목록 작성

– 설계 성과품 작성일정 확인 후 입력 자료의 접수완료 예정 일자를 명시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효과적임

2) 적용 범위

– 각종 배관 설계 성과품에 항상 최신의 확정된 설계 입력 자료 반영

3) 수행 역무

– 설계 요구조건 및 역무내역을 충족하게 하고 배관설계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관련 부서에서 설계 입력 자료를 접수하여 설계 입출역 목록 글 작성

▣ 설계 투입 인력 산정

1) 개요

– 설계 도서 및 도면 작성, 도서 검토 및 승인, 관련 업체 및 부서와 업무협의 등의 설계 관련 업무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담당자를 선정하여 설계수행 조직을 구성해야 함

2) 적용범위 

– 설계업무 착수 전에 업무별로 투입인력을 선정하여 설계 수행조직을 만들고 담당자에게 배포하여 설계업무가 원활하게 추진되도록 운영 및 관리해야 함

3) 수행 역무 

– 설계 투입 인력 선정 후 수행 조직표를 만들고, 참여 기술자에 대한 월별 인원 동원계획을 수립해야 함

▣ 교육 및 훈련계획 수립

1) 개요

– 계약서에 기술된 역무내역을 정리하여 설계투입인력에 대해 교육 및 훈련계획을 수립해야 함 (소요경비를 프로젝트 실행예산에 반영)

2) 적용범위

– 교육 및 훈련 실시 후 교육 내용과 출석기록카드 등의 이력관리 하고 전문 또는 신구술 분야 등, 외부교육 참석자는 교육에 참석하지 않은 직원을 대상으로 전파교육을 실시해야 함

3) 수행역무

– 설계투입인력에 대한 교육 및 훈련계획을 수립하고 교육 및 훈련이 계획대로 설시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함

▣ 설계도서 및 도면목록 작성

1) 개요

– 계약서 내용을 확인하고 설계단계에서 수행해야 할 각종 설계도서 및 도면목록을 작성해야 함 (성과품의 종류별 및 용도별로 구분하고 제출 예정일자를 기입)

2) 적용범위

– 설계도서 및 도면목록을 작성하여 필요 시, 발주자와 협의하고 확정된 설계도서 및 도면목록을 담당자에게 배포해야 함

3) 수행역무

– 관련부서에서 설계 입력 자료를 접수하여 설계도서 및 도면목록을 작성하고 확정된 설계도서 및 도면목록을 설계기간에 효율적으로 관리해야 함

▣ 설계 외주계획 수립

1) 개요

– 고품질의 성과품을 작성하기 위해 설계 외주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외주계획에는 역무 범위 및 책임한계, 수행계획 및 추진방향, 업체선정 및 평가기준, 업체 관리체계와 업무 수행 절차에 대해 기술해야 함

2) 설계 외주수행 계획

– 선정된 외주업체가 신속하게 설계업무를 수행하게 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적합한 설계 외주수행 계획을 수립해야 함

3) 설계 외주수행 방안

– 주요 설계 성과품은 내부 전문가에 의해 설계검증을 실시하여 설계오류 방지와 품질향상을 지향하며 설계공정 준수에 역정을 두록 외주업무를 수행해야 함

4) 설계 외주업체 선정 시 고려사항

– 설계 외주업체 선정 시 설계해당 분야 전문성, 설계 용역비, 용역 수행 능력, 회사에 대한 공헌도, 발주자가 추천하는 업체 등을 고려해야 함

5) 설계 외주업체 수행평가 및 관리 

– 설계 외주업체가 충실하게 외주 용역을 수행하는지 확인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규정된 평가기준에 따라 분기별로 외주업체평가를 해야 함

6) 설계 외주 범위 및 외주비 산정 

– 배관설계 외주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업무범위를 정확하게 구분하여 단위 M/H당 외주단가를 성과품 작성에 투입되는 전체 M/H로 곱하여 전체 외주비를 산정하고 실행예산에 반영해야 함

kassy

Recent Posts

[공정안전자료] 동력기계목록

▣ 동력기계목록 별지 제14호 서식   ▣ 기입대상     - 펌프류, 압축기류, FAN류, 교반기류, Crane/Hoist,…

3일 ago

휴대용 가스레인지(부탄캔) 사용

휴대용 가스레인지를 이용한다면 안전사고에 주의하자. 일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휴대용 가스레인지(부탄캔) 폭발사고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가스…

4일 ago

[공정안전자료] 법 제104조 유해인자 분류기준

산업안전보건법 제7장 유해ㆍ위험물질에 대한 조치 제1절 유해ㆍ위험물질의 분류 및 관리  제104조(유해인자의 분류기준) 고용노동부장관은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6일 ago

[공정안전자료] 유해·위험물질목록

[ 유해·위험물질목록, 별지 제13호 서식] _  [ KOSHA Guide 화학물질정보 작성예시 ] _  ▣ 기입대상물질 : 모든…

7일 ago

S마크 안전인증제도

▣ 안전인증제도(S 마크) 개요 S마크는 산업재해예방을 위한 임의인증제도입니다. 안전인증제도는 산업안전보건법 제84조제3항의 규정에 따라 제품의 안전성과…

2주 ago

링거액 발명

링거액은 포도당을 추가한 주사액으로 생리 식염수와 마찬 가지로 체액을 보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링거액은 1831년 개구리의 심장근육 수축력을…

3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