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요 및 적용 범위

– 개요

본 설계기준서는 발전플랜트의 배관설계에 대한 Code & Standard와 계약서에 기술된 설계 요구조건을 반영한 설계기준으로 배관 계통을 설계할 때 배관계 구성요소의 기능적인 적정성(Functional Adequacy)과 구조적인 안정성(Structural Integrity)을 충족시키도록 규정한 기준서로서 설계 기준서의 기술내용과 적용기준을 모든 설계 성과품 작성 시에 반영해야 함

– 적용범위

발전소 각 계통의 배관설계에 적용되는 기준으로서 별도의 기술 규격과 설계기준에 의해서 설계하는 냉난방설비 배관, 소화설비 배관, 상하수도 배관, 오폐수처리 배관 등에는 적용하지 않음

▣  적용 규격 및 표준

– 발전소 각 계통의 배관 설계에 적용하는 Code 는 ASME B31.1 Power Piping이며, 추가로 적용해야 하는 Code & Standard는 다음에 열거한 최신판으로 적용해야 함

.

– 국내 전기사업법

– Korea Electric Power Industry Code (KEPIC)

–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de (ANSI)

– Americal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SME) 

· ASME Sec. I Power Boiler

· ASME B31.1 Power Piping

– American Society of Testing and Material (ASTM)

– American Petroleum Institute (API)

– Manufacturers Standardization Society of the Valve and Fittings Industry Inc. (MSS)

–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AWWA)

– Korea Industrial Standards (KS)

–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NFPA)

– Korea Fire Protection Code and Relevant Regulation (국내소방법규)

.

▣ 일반 설계 기준

1) 단위계

– 계약서 등에서 특별한 규정이 없으면 국제 표준 단위계 (SI)를 원칙으로 함

.

2) 배관재의 호칭경

– 배관 크기는 호칭경(NPS)과 두께로 나타냄 (Metric 표기는 ‘DN’으로 표기)

– 배관 두께는 Schedule 번호와 Weight에 의해 적용

– 배관 재질 (탄소강, 합금강: ASME B36. 10, 스테인레스강 : ASME B36. 19)

.

3) 설계 압력 및 온도

– 설계 압력 및 온도는 각 계통의 설계 자료 및 ASME B31.1 Para 122

“Design Requirements Pertaining to Specific Piping Systems” 기준 적용

.

4) 배관재의 온도 압력 등급

– 최고 사용압력과 온도 기준으로 ASME B16.5, ASME B16.34에서 지정하는 Class을 기본 등급으로 적용하며 배관 재질 등급표 (Piping Material Classification)를 작성하고 반영

.

5) 배관 두께 (Wall Thickness) 선정

– 계산된 두께를 반영하며 상용 제작된 배관 두께를 적용하고 내압은 물론 필요 시 외압 및 진공에 의한 두께도 고려해야 하며, 탄소강의 경우 D50이하는 Sch.80, D65이상은 STD WT, 스테인레스강의 경우 D50이하는 Sch.40S, D65이상은 Sch. 10S이상으로 적용 (계통별 배관 두께는 배관 재질 등급표에 명시할 것)

– 내압에 의한 두께 계산 : ASME B31.1 Para 104.1.2에 따름(제작 공차 고려)

– Bending에 따른 두께 산정 : ASME B31.1 Table 102.4.5에 따라서 결정

– 외압을 받는 배관 : ASME Sec. VIII, Division 1, UG-28~30과 AWWA에 따름

– 배관 재질 등급표 보다 두꺼운 배관을 적용할 경우는 배관 응력 해석 및 서포트 설계 등에 반영

– 용접 연결을 위해 끝단 기계 가공 시 배관의 최소 두께 유지

kassy

Recent Posts

[공정안전자료] 동력기계목록

▣ 동력기계목록 별지 제14호 서식   ▣ 기입대상     - 펌프류, 압축기류, FAN류, 교반기류, Crane/Hoist,…

3일 ago

휴대용 가스레인지(부탄캔) 사용

휴대용 가스레인지를 이용한다면 안전사고에 주의하자. 일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휴대용 가스레인지(부탄캔) 폭발사고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가스…

4일 ago

[공정안전자료] 법 제104조 유해인자 분류기준

산업안전보건법 제7장 유해ㆍ위험물질에 대한 조치 제1절 유해ㆍ위험물질의 분류 및 관리  제104조(유해인자의 분류기준) 고용노동부장관은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6일 ago

[공정안전자료] 유해·위험물질목록

[ 유해·위험물질목록, 별지 제13호 서식] _  [ KOSHA Guide 화학물질정보 작성예시 ] _  ▣ 기입대상물질 : 모든…

7일 ago

S마크 안전인증제도

▣ 안전인증제도(S 마크) 개요 S마크는 산업재해예방을 위한 임의인증제도입니다. 안전인증제도는 산업안전보건법 제84조제3항의 규정에 따라 제품의 안전성과…

2주 ago

링거액 발명

링거액은 포도당을 추가한 주사액으로 생리 식염수와 마찬 가지로 체액을 보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링거액은 1831년 개구리의 심장근육 수축력을…

3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