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랜트 엔지니어링의 전문성과 의존성

플랜트 건설을 위한 엔지니어링 부서

구성 – 전문 설계그룹으로 구성되어 있음
공정(Process)
기계장치(Mechanical Equipment)
배관(Piping)
계기 및 제어(Instrumentation and Controls)
전기(Electrical)
토목/건축/구조(Civil/Architectural/Structural)
각 전문분야의 성과물 -다른 전문 분야의 기초 정보가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서로 의존 관계에 있음

-미리 정립된 검토과정을 거쳐 구매 조달용 또는 현장 시공용으로 통합되어 사용하게 됨

※ 적절한 타이밍에 상호 설계 Data를 가지고 Coordination 및 Cooperation을 통하여 각자의 성과물을 만들어 냄

.

▣플랜트 기계설계 업무의 속성

(1) 기계장치 설계그룹과 여타의 설계부서와 다른 점

기계장치 설계그룹 여타의 설계부서
특징 전문 VendorShop에서 제작된 상태로 현장에 설치 주로 Bulk Material을 구매하여 현장시공 위주로 하는 설계
주 성과물 기계장치 구매 지원서류
(Fields Fabricated Tank 등은 예외)
도면

.

(2) 일반적 기계설계와 다른 점

플랜트 기계설계 프로젝트가 요구하는 조건을 제작자에게 정확히 전달해 주기 위한 업무, 즉 구매조달을 위한 설계로서 사용목적, 사용조건, 기대하는 기능 등을 정확히 기술하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하는 기계설계

.

일반적 기계설계 기계장치 설계그룹
기계장치를 만들기 위한 설계 구매사양서를 만드는 일과 제작자(Vendor : 공급자)가 제대로 제작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조치하는 일련의 기술활동

.

▣기계설계 업무 구분

.

▣ 기계장치 설계를 위한 필수 공통기술 및 지식

(1) 필수 공통 기술과 기타 필요 지식

필수 공통 기술 기타 필요 지식
소음진동(Noise & Vibration)
응력해석(Stress Analysis)
용접(Welding)
금속(Metallurgy)
열전달(Heat Transfer)
Code & Standards에 대한 이해
플랜트 엔지니어링 업무의 속성(Coordination & Cooperation)에 대한 이해
문서작성 및 문서 이해능력
(With communication)

.

(2) 효과적인 기술관리

.

(3) 각종 Code와 Standard의 제정주체

제정주체
학회 등의 전문가 그룹 ASME
국가 등의 공공단체 ANSI, KS
제작자 TEMA
사용자 API

.

▣ 기자재 구매 사양서(MR: Material Requisition)

– 플랜트 설계의 가장 중요한 성과물

  • 구매지원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원청자의 기술적 요구사항을 담아 이를 효과적으로 Vendor에게 전달하기 위한 중요한 도구
  • 기계 설계팀의 구매지원 행위이자 설계능력이 표시되는 척도
  • 승인된 절차에 따라 관리하고 보완해야 할 것

-> 플랜트 기계설계 업무 : MR을 작성하는 일

– 기본적으로 Standard Form을 사용하며 프로젝트 특성에 따라 수정할 수 있음

.

▣기계설계 업무 흐름

(1) MR 작성

– Project가 시작되면 기계 설계팀은 즉시 MR 작성 작업을 시작함

  • Process Team에서 작성한 P&ID, Equipment Data Sheets 및 Equipment List를 근거로 Equipment Specification, Standard Drawing, 적용 Code 목록, 가용 Utility 목록, 기계 Data Sheets을 작성
  • 기계 장치류를 Grouping 하여 MR List를 작성
  • 기계의 특성을 고려하여 기계 종류별로 적정한 업체를 추천
Stationary Item의 경우 Engineering Drawing의 활용방안을 제시함
Field Fabricated Tank 등이 있는 경우 (성과품으로 도면과 B/M을 제출하게 되는 Item) 하도급 처리등 별도의 설계업무 추진 계획을 수립함

.

(2) 관련부서에 자료 통보

– 동시에 기계 설계 엔지니어는 가급적 빨리 관련부서에 다음 내용을 제공함

  • Preliminary Loading Data
  • Preliminary Equipment Dimension
  • Motor List & Estimated Electrical Power
  • Painting B/M
  • Insulation B/M 등

.

(3) ITB 발송

– 같은 시기에 구매부서는 기계 설계 팀이 발급한 MR을 기준으로 구매입찰 요청서(ITB: Invitation to Bid)를 Vendor(Bidder)에 송부하고 견적을 접수한 후 기계 설계팀에 검토를 의뢰하게 됨

.

(4) TBE / MR 수정작성

– 기계 설계 팀은 TBE를 통하여 결정된 모든 기술적인 계약조건을 반영하여 기자재 구매사양서를 수정 보완하고(Revised MR) [Issued for Purchase] or [Technical Purchasing Specification:TPS]용으로 Issue 

발급된 Revised MR 설계행위의 기술적 기준
Kick Off Meeting을 통한 쌍방 사전 확인 필수
Vendor Print IndexSchedule 합의 사항을 반드시 포함시켜야 함
이후 PO(Purchase Order)의 공식 문건이 됨

.

(5) Vendor Print 검토

– PO 발급 후 Vendor는 기계장치 제작과 동시에 Vendor Prints를 제출하게 되는데 기계 설계팀은 다음 사항들이 충분히 반영되어 있는지 검토함

Vendor Print 검토사항 TPS에 명시된 기술적 요구사항 ITB Requirements
Code & Standard Application
Strength Calculation
Site Condition
Welding and Metallurgy
Noise & Vibration, Stress Analysis

.

Vendor Print 검토사항 관련 설계 공종에서 필요한 Information
Design Interface Information Nozzle Orientation
Termination Point
Electrical & Control
Shipping Condition

.

Vendor Print 검토사항 시공관련 Information
Nozzle Opening for Stationary item
Inspection 관련사항
Spare Parts List
Lubricant Information
Utility Information
Mechanical Data Book including Operation and Maintenance Manual
kassy

Recent Posts

[공정안전자료] 동력기계목록

▣ 동력기계목록 별지 제14호 서식   ▣ 기입대상     - 펌프류, 압축기류, FAN류, 교반기류, Crane/Hoist,…

3일 ago

휴대용 가스레인지(부탄캔) 사용

휴대용 가스레인지를 이용한다면 안전사고에 주의하자. 일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휴대용 가스레인지(부탄캔) 폭발사고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가스…

4일 ago

[공정안전자료] 법 제104조 유해인자 분류기준

산업안전보건법 제7장 유해ㆍ위험물질에 대한 조치 제1절 유해ㆍ위험물질의 분류 및 관리  제104조(유해인자의 분류기준) 고용노동부장관은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6일 ago

[공정안전자료] 유해·위험물질목록

[ 유해·위험물질목록, 별지 제13호 서식] _  [ KOSHA Guide 화학물질정보 작성예시 ] _  ▣ 기입대상물질 : 모든…

1주 ago

S마크 안전인증제도

▣ 안전인증제도(S 마크) 개요 S마크는 산업재해예방을 위한 임의인증제도입니다. 안전인증제도는 산업안전보건법 제84조제3항의 규정에 따라 제품의 안전성과…

2주 ago

링거액 발명

링거액은 포도당을 추가한 주사액으로 생리 식염수와 마찬 가지로 체액을 보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링거액은 1831년 개구리의 심장근육 수축력을…

3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