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M

ASME Code 구성

▣ Code & Standard 특성

  •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고 통합 또는 변경이 됨
  • 강제요건과 임의 요건 존재
  • 이해관계자의 폭이 넓고, 생산하는 주체는 많이 있음
  • ASME의 규제는 미국의 각 주가 이를 법적으로 채택하여 강제함
  • Mechanical Engineering에 포커스를 두고 있으나 모든 기술분야의 Code 및 Standard로서 주도적 역할을 하고 있음
  • 4가지 범주로 분류할 수 있음

– Professional Societies (전문협회)

– Trade Associations (동업자 단체)

– Test and Certification Organizations (시험 및 검증기관)

– Standards Developing Organizations (표준협회)

▣ 개요

  • ASME Code : 사용자는 물론, 공공의 안녕과 시스템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제정
  • CODE CASE : 현재의 CODE에서 언급되지 않고 있는 사항 또는 CODE의 내용에 대한 해석을 긴밀히 발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위원회의 신속한 절차를 통해 추가규정발행
  • ASME의 Abbreviation은 The 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미국기계학회)로서 기계분야의 표준화 및 규격화를 위한 인증과 인증 절차를 책임지는 기관

▣ ASME Code 구성 I

  • Section 별 공통으로 적용되는 섹션이 있음
  • 기능에 따른 분류 : 제작용 Section와 유지보수용 Section
  • Boiler, Pressure Vessel, 기타 요소의 설계, 제작, 설치, 시험 및 검사에 대한 규정

▣ ASME Code Section II

  • 각종 재료에 관한 내용 수록
  • 규제사항에 따른 테이블 및 차트 수록

ASME Code Section III

  • Subsection NCA : 일반요건(General Requirement)에 Div.1과 Div.2 공통, 기기의 등급분류, 관련기관의 책임사항, 품질보증요건, 공인검사, 자격취득 및 관리 등 수록
  • 당해 코드에서 면제되는 품목(NCA-1130b)이 있으며, 품질등급의 그룹이 있음  Quality Group (Reg. Guide 1.26)

ASME Code Section XI

  • 매 3년마다 Edition과 변경분 (Addenda)이 발행
  • 비파괴검사방법 : 육안검사, 표면검사, 체적검사, 대안검사법

ASME Code 적용 및 품목

  • 종류 : Components, Parts / Appurtenances / Piping Subassemblies, Component Supports, Materials, Installation
  • ASME III에 면제되는 품목 (NCA-1130b) : Valve Operators, Controllers, Position Indicators, Pump Impellers, Instruments

ASME Code 등급

▣ ASME 자격 인증제도

  • ASME Boiler and Pressure Vessel Code 규격의 요구에 따라 설계, 제작, 시공 등의 활동을 할 수 있는 자격이 있는 회사를 인증하기 위한 절차 설정
  • 특정 STAMP가 부여되는 것과 그렇지 아니한 것
  • 대상품목

– 일반산업 분야 :  열교환기, column, drum 등 압력 5 psig 이상의 모든 압력용기에 해당

– 원자력 분야 : 원자로 등의 압력용기, Tank 격납 용기, Pump, Valve, 로심 지지, 구조물, 배관 등

▣ ASME 공인 인증제도

  • 안전에 관련된 내압계통 기기가 설계요건 및 관련기준 (ASME Code)에 적합하게 제작, 설치 및 운전되는가 확인
  • 공인검사기관 (AIA)
  • 원자력검사관 감독관 (ANIS)
  • 공인원자력 검사관 (ANI)

kassy

Recent Posts

[공정안전자료] 동력기계목록

▣ 동력기계목록 별지 제14호 서식   ▣ 기입대상     - 펌프류, 압축기류, FAN류, 교반기류, Crane/Hoist,…

3일 ago

휴대용 가스레인지(부탄캔) 사용

휴대용 가스레인지를 이용한다면 안전사고에 주의하자. 일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휴대용 가스레인지(부탄캔) 폭발사고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가스…

4일 ago

[공정안전자료] 법 제104조 유해인자 분류기준

산업안전보건법 제7장 유해ㆍ위험물질에 대한 조치 제1절 유해ㆍ위험물질의 분류 및 관리  제104조(유해인자의 분류기준) 고용노동부장관은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6일 ago

[공정안전자료] 유해·위험물질목록

[ 유해·위험물질목록, 별지 제13호 서식] _  [ KOSHA Guide 화학물질정보 작성예시 ] _  ▣ 기입대상물질 : 모든…

1주 ago

S마크 안전인증제도

▣ 안전인증제도(S 마크) 개요 S마크는 산업재해예방을 위한 임의인증제도입니다. 안전인증제도는 산업안전보건법 제84조제3항의 규정에 따라 제품의 안전성과…

2주 ago

링거액 발명

링거액은 포도당을 추가한 주사액으로 생리 식염수와 마찬 가지로 체액을 보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링거액은 1831년 개구리의 심장근육 수축력을…

3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