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 Working at Heights

Working at height remains one of the biggest causes of fatalities and major injuries. Common cases include falls from ladders and through fragile surfaces. ‘Work at height’ means work in any place where, if there were no precautions in place, a person could fall a distance liable to cause personal injury (for example a fall through a fragile roof).

This section shows how employers can take simple, practical measures to reduce the risk of any of their workers falling while working at height. (from HSE UK)

Control Measures – Simple Steps

  • avoid work at height where it’s reasonably practicable to do so
  • where work at height cannot be easily avoided, prevent falls using either an existing place of work that is already safe or the right type of equipment
  • minimise the distance and consequences of a fall, by using the right type of equipment where the risk cannot be eliminated

 

Hazard Category Hazards Controls
Falls of Personnel 1. Can occur if adequate fall protection devices are not implemented, i.e. handrails on scaffolds, securing ladders and/or wearing safety harness 1. Scaffolders shall ensure that all access platforms and workstations are constructed in line with all relevant access and that suitable “Safe systems of work” are implemented.

2. Fall protection devices such as harnesses and lanyard shall be worn at all personnel if fixed access can not be proved. 

3. Safety equipment shall be checked and and have a current test certificate. 

4. A stand-by man shall be present when personnel are working at heights. 

Falls of Materials/Tools and/or Equipment 1. Can occur if knocked off access platforms and/or if dropped by personnel undertaking the task 1. Personnel shall ensure that all materials/ tools and/or equipment are kept secure at all times.

2. Barriers shall be erected below the work area to prevent access to the dander area and “DANGER MEN WORKING OVERHEAD” signs displayed to advise personnel of the potential hazard. 

3. A stand-by man shall be present when personnel are working overhead and there is a possibility of materials falling and barriers cannot be erected. 

Vertigo 1. Often associated with working at heights and can result in very serious injuries to personnel (from falls, etc.) 1. Personnel shall ensure that they are capable of undertaking the task, both physically and mentally and do not work outside their own capabilities – As this may put both themselves and other in danger.

2. Suitable breaks shall be taken as and when required (This will vary as to the type of work, i.e. hard or easy, hot or cold). 

3. Report any sign of dizziness – vertigo, immediately to the supervisor. 

위의 사진은 가끔 맥주집에서 볼 수 있는 사진이라 익숙하신 분도 있으실겁니다.

제가 아는 바로는 미국의 Empire State Building 공사 당시의 사진으로 들었습니다.

안전 기준이나 법의 시작이 유럽이나 미국에서 시작했다는 것을 보면, 국가의 성장에 있어 안전문화도 동반되어 성장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첫번째 사진은 2010년도 낙하물방지망 설치할 때, 찍은 사진입니다.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사진으로 당시 캐논과 중앙일보에서 실시하는 “일하는 사람들” 사진공모전에도 출품했는데… 조회수는 1등이나 조회수와 수상은 별개의 문제더라구요 ^^;;;;

지금까지도 아쉽습니다.

고소작업 – Working at Heights는 많은 위험을 갖고 있으며 광범위합니다.

비계, 달기구, 건설장비, 사다리 등 각 특성에 맞는 안전조치/예방조치가 필요합니다.

내가 올라가서 일하기 어렵다면, 다른 사람들, 근로자도 똑같은 마음이겠죠!!!

베트남에서 근무하는데, 작업 여건이 안좋아서 화가 난 상태로 베트남 협력업체 소장 및 직원들에게 미팅하자고 한 후, 고소작업장소에 올라가 있었습니다. 그들도 고소작업장소에 올라오는 것이 두려웠고, 그 이후 그나마 바꾸려 하더군요

한번의 실수가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고소작업에 있어서 더욱 관심을 가져야 겠습니다.

요즘같이 추운 겨울-동절기에는 더욱 신경써야겠죠~!!

집에서 기다리는 가족이 있어 퇴근해야 하는데, 오늘도 추운날씨에 밖에서 고생하시는 근로자분들이 계셔 같이 있네요. 다시한번 현장 둘러보고 와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kassy

Recent Posts

[공정안전자료] 동력기계목록

▣ 동력기계목록 별지 제14호 서식   ▣ 기입대상     - 펌프류, 압축기류, FAN류, 교반기류, Crane/Hoist,…

3일 ago

휴대용 가스레인지(부탄캔) 사용

휴대용 가스레인지를 이용한다면 안전사고에 주의하자. 일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휴대용 가스레인지(부탄캔) 폭발사고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가스…

4일 ago

[공정안전자료] 법 제104조 유해인자 분류기준

산업안전보건법 제7장 유해ㆍ위험물질에 대한 조치 제1절 유해ㆍ위험물질의 분류 및 관리  제104조(유해인자의 분류기준) 고용노동부장관은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6일 ago

[공정안전자료] 유해·위험물질목록

[ 유해·위험물질목록, 별지 제13호 서식] _  [ KOSHA Guide 화학물질정보 작성예시 ] _  ▣ 기입대상물질 : 모든…

1주 ago

S마크 안전인증제도

▣ 안전인증제도(S 마크) 개요 S마크는 산업재해예방을 위한 임의인증제도입니다. 안전인증제도는 산업안전보건법 제84조제3항의 규정에 따라 제품의 안전성과…

2주 ago

링거액 발명

링거액은 포도당을 추가한 주사액으로 생리 식염수와 마찬 가지로 체액을 보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링거액은 1831년 개구리의 심장근육 수축력을…

3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