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 A급 (일반화재) |
B급 (유류화재) |
C급 (전기화재) |
K급 (주방화재) |
소화효과 | 목재, 종이, 섬유 등 | 휘발유, 등유, 윤화유 등 | 분전반 등 전기기계기구 | 식용유 |
※ 연소의 3연소 : 가연물 + 산소 + 점화원
① 위험성 : 식용유는 한번 불이 붙으면 표면의 화염을 제거하여도 기름의 온도가 발화점 이상으로 이미 가열된 상태라 재발화의 가능성이 높음
② 소화방법
– 주방을 의미하는 키친(Kitchen)에서 앞 글자를 따온 K급 소화기는 유막을 형성해 식용유 온도를 낮추어 주고 산소 공급을 차단해 불을 진화함
– 물에 젖은 수건을 덮어 산소 공급을 차단하여 불을 진화
① 위험성 : 가스터빈, 스팀터빈 등 설비에 사용되는 윤활유는 물보다 비중이 가벼워 일반적 주수 소화 시 물 위에 떠서 유면이 확대되어 연소확대의 우려가 큼
② 소화방법
– 무상주수(미세한 물방울)하여 유류 표면의 가연성 혼합기 형성을 억제하여 소화
– 포 소화약제 등으로 유면을 덮어 산소 공급을 차단하여 소화
*가연성혼합기 : 연소가 가능한 가연성가스와 공기의 조성 범위
(유류에 불이 붙으면 액체에 불이 붙는 것이 아니라 액체에서 증발된 가연성가스가 연소가 됨)
휴대용 가스레인지를 이용한다면 안전사고에 주의하자. 일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휴대용 가스레인지(부탄캔) 폭발사고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가스…
산업안전보건법 제7장 유해ㆍ위험물질에 대한 조치 제1절 유해ㆍ위험물질의 분류 및 관리 제104조(유해인자의 분류기준) 고용노동부장관은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 안전인증제도(S 마크) 개요 S마크는 산업재해예방을 위한 임의인증제도입니다. 안전인증제도는 산업안전보건법 제84조제3항의 규정에 따라 제품의 안전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