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락은 사람이 높은 곳에서 떨어져 자유 낙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위치에너지의 결과입니다.
매년 발생되는 중대재해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사고 유형이기도 합니다.
추락은 고소작업과 관계가 있고, 고소작업의 기준은 사업장 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1.8m 이상 또는 2m 이상을 고소작업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고소작업을 할 때에 추락사고가 발생하고 그 결과로 추락한 재해자는 사망에 이르는데,
그 충격량이 얼마나 될까요?
▶ 떨어질 경우 떨어진 높이에 따른 경과시간은 떨어진 높이의 제곱근에 비례
▶ 떨어질 때의 속력은 경과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되므로 떨어질 때의 속력은 증가하며 떨어짐
▶ 추락에 의해 받은 충격력은 떨어진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여 증가하므로 5m 정도 높이에서 떨어질 경우 자기 체중의 약 10배 충격력
충격량(I=impulse) : 물체가 받은 충격의 정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으로 크기와 방향을 가지며, 물체에 작용하는 힘과 힘이 작용하는 시간의 곱
충격력 : 물체에 충격이 가해지는 동안의 평균적인 힘
▶ 떨어진 높이에 따른 속도와 충격력
상기 속도 및 충격량 계산은 순수 이론값으로 81.7kg(180파운드)의 근로자를 기준으로 했으며, 충격력은 미국 산업교육원에서 발표한 충격시간에 대한 실험값을 가지고 계산된 것으로 안전보건공단의 자료를 인용함.
▶ 안전모 미착용 근로자가가 체중72kg 로 높이 3m의 말비계에서 떨어져 머리가 바닥에 닿을 경우 충격력은??
장미란 교수님이 기록한 세계신기록 187kg
추락의 충격량 계산값과 그 충격의 크기를 비교해보세요
감사합니다
※위 계산과 도표 등은 안전보건공단 자료를 사용하였습니다.
휴대용 가스레인지를 이용한다면 안전사고에 주의하자. 일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휴대용 가스레인지(부탄캔) 폭발사고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가스…
산업안전보건법 제7장 유해ㆍ위험물질에 대한 조치 제1절 유해ㆍ위험물질의 분류 및 관리 제104조(유해인자의 분류기준) 고용노동부장관은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 안전인증제도(S 마크) 개요 S마크는 산업재해예방을 위한 임의인증제도입니다. 안전인증제도는 산업안전보건법 제84조제3항의 규정에 따라 제품의 안전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