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고표지 양식 및 규격 제7조 관련
[주요 미부착 사례]
1) 작업을 위하여 타 용기에 소분하여 사용 시 해당 소분용기에 미부착 (ex, 페인트, 오일, 신너 등)
2) 창고 내 보고나 중인 말통 등에 경고표지가 부착되어 있으나 훼손, 오염 등으로 고나련 정보 식별 불가
3) 소분용기에 해당 물질의 물질명만 수기로 작성하여 취급
*법정 경고표시 양식
-> 고용노동부고시 “화학물질의 분류, 표시 및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기준” 별표 3 에서 양식 다운로드 가능
휴대용 가스레인지를 이용한다면 안전사고에 주의하자. 일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휴대용 가스레인지(부탄캔) 폭발사고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가스…
산업안전보건법 제7장 유해ㆍ위험물질에 대한 조치 제1절 유해ㆍ위험물질의 분류 및 관리 제104조(유해인자의 분류기준) 고용노동부장관은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 안전인증제도(S 마크) 개요 S마크는 산업재해예방을 위한 임의인증제도입니다. 안전인증제도는 산업안전보건법 제84조제3항의 규정에 따라 제품의 안전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