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발생율은 비교적 낮은 부분에 속함
– 재해가 발생되면 호흡정지, 심장마비, 근육수축 등의 신체기능 장해 발생
– 고소작업시 추락 등으로 인한 2차재해가 발생 가능
– 생명에 지장이 없더라도 장애가 남는 경우가 다수 발생
전기를 사용하여 작업용으로 사용하는 기계,기구의 기술적 측정을 통하여 작업자가 전기적 안전을 확보하고 작업함으로써 감전재해를 예방하기 위함
누전 : Electric leakage, 절연이 불완전하여 전기의 일부가 전선 밖으로 새어나와 주변의 도체에 흐르는 현상
외합접지 계산식
1) 물 등 도전성이 높은 액체에 의한 습윤장소
2) 철판, 철골위등 도전성이 높은 장소
3) 임시배선의 전로가 설치되는 장소
[감전에 따른 인체반응]
최소 감지전류 | AC 1~2mA | 따끔하게 느끼는 정도 |
고통 한계전류 | AC 2~8mA | 참을 수는 있으나 고통을 느낀다 |
가수전류 | AC 8~16mA | 참을 수 없을 정도의 고통이나 스스로 접촉된 충전부에서 탈락 가능 |
불수전류 | AC 16~50mA | 스스로 접촉된 충전부에서 탈락할 수 없는 최소의 전류 |
심실세동전류 | 심장박동이 불규칙하게나 미약하여 충전부에서 분리시켜도 자연적으로 회복이 불능하므로 즉시 인공호흡과 심폐소생법을 실시 |
[통전시간과 심실세동전류]
*NFB는 일본에서 사용되는 단어라네요
– 과전류차단장치는 반드시 접지선이 아닌 전로에 직렬로 연결하여 과전류 발생 시 전로를 자동으로 차단하도록 설치할 것
– 차단기,퓨즈는 계통에서 발생하는 최대 과전류에 대하여 충분하게 차단할 수 있는 성능을 가질 것
– 과전류차단장치가 전기계통상에서 상호 협조,보완되어 과전류를 효과적으로 차단하도록 할것
휴대용 가스레인지를 이용한다면 안전사고에 주의하자. 일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휴대용 가스레인지(부탄캔) 폭발사고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가스…
산업안전보건법 제7장 유해ㆍ위험물질에 대한 조치 제1절 유해ㆍ위험물질의 분류 및 관리 제104조(유해인자의 분류기준) 고용노동부장관은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 안전인증제도(S 마크) 개요 S마크는 산업재해예방을 위한 임의인증제도입니다. 안전인증제도는 산업안전보건법 제84조제3항의 규정에 따라 제품의 안전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