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 강재, 고철 등은 상온에서도 공기 중의 산소를 소비해 산화, 발열되어 녹이 발생한다.
탱크, 호퍼, 사일로, 열차 화물칸 등의 내부
▷건성유의 산패
아마유, 보일유 등 도료용 건성유는 건조·경화될 때 다량의 산소를 유성분 분자 내에 포집해 결합하며, 동시에 일산화탄소와 알데히드를 방출함으로써 저산소 상태가 된다.
건성유, 대두유(콩기름), 유채유와 같은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한 식물성 식용유는 공기 중의 산소와 결합하여 고화, 변질된다.
건성유로 동장해 환기가 불충분한 장소, 식물성 기름 저장탱크등의 내부
▷건성유란?
오동유, 아마인유, 대두유, 탈수 피자마유 등 요오드값130 이상의 식물유. 공기 중에서 산화 중 합에 의해 가교 경화하므로 건조성이 크다.
도료, 오일바니시, 인쇄잉크 등에 사용된다.
▣ 미생물의 호흡작용에 의한 산소결핍
▷미생물이 발효하는 탱크, 항온실 또는 양조조 내부
▷미생물 증식
하수, 오물은 세균 증식에 따른 산소 소비로 이산화탄소, 메탄, 황화수소 등이 동반 발생한다.
분뇨, 부니 오수, 펄프액, 기타 부패하거나 분해하기 쉬운 물질을 넣었던 탠크, 선창, 조, 관, 암거, 맨홀, 하수구 또는 피크와 같은 장소
▷식물, 곡물, 목재 등이 호흡작용을 하는 사일로, 야채 항온실, 창고, 선창 등의 내부
▣ 기타 원인에 의한 산소결핍
▷냉장·냉동실, 탱크, 보일러, 압력용기, 반응탑과 같은 밀폐된 방의 내부 지하수의 산소 소모
지하수에 용존산소가 적을 때 공기 중의 산소를 용해해 산소결핍이 발생
수도의 지하 집수지
수력발전소의 취수구
용수가 풍부한 지하터널이나 맨홀 등의 내부
▷일반 우물에서 복잡한 원인에 의한 산소결핍
물로의 산소 용해
내부 미생물의 호흡
지질에 따른 산소 흡수
토사틍에서 산소결핍 유입
▣ 인체의 산소소비
-체내의 모든 세포 활동은 혈액으로 공급되는 포도당에서 만들어지는 ATP 형태의 에너지 발생원에 지배되며 그 생성에 산소가 필요하다.
-생태 내 각 조직의 산소 소비량은 큰 차이가 있다. 뇌는 산소소비가 가장 큰 장기로서 중량은 1.4kg에 불과하나 소비량은 전신의 약 25%에 해당한다.
▷신체의 산소소비량
단위시간의 흡기와 호기의 산소 합량차로 구해진다. 뇌 ·간 ·신 ·심장 ·골격근 에서 신체 산소소비량의 약 80%를 차지한다.
체중이 70kg인 사람의 정상시 산소 소비량은 0.34㎠/100g/분이다. 장기별로는 뇌 47㎠/분, 간 60㎠/분, 신장 17.4㎠/분, 심장 19.2㎠/분 등이다. 30l의 더글러스백에 3분간 호기를 채취하고, 숄란데르(Scholander) 미량가스분석계로 산소 농도를 측정해 1분간의 산소소비량을 계산한다. 저체온하에서는 조직의 혈류가 감소해 산소 수요와 이산화탄소 산생이 저하해서 호흡비가 저하한다.
▣ 산소 부족과 생채반응
▷산소결핍에 대한 사람의 반응
▷산소결핍에 의한 소소농도별 증상
산소농도
영향과 증상
15%
19%
열성적인 업무능력 감소, 신체기능 조절 저하 및 심장, 폐, 순화기장 해인 초기증상 유발
12%
14%
호습수 증가, 맥박 증가, 기능조절 저하, 지각 · 판단력의 손상
10%
12%
호흡이 빠르고 깊에지며 판단력이 저하되고 입술이 파래짐
8%
10%
정신혼미, 어지럽증, 의식상실, 안면창백, 청색얼굴, 구토
6%
8%
8분내 100% 치명적, 6분 내 50% 치명적
4%
6%
40초 내 혼수상태, 경련, 호흡정지, 사망
▣ 무산소 공기 호흡의 위험성
-무산소 공기를 호흡하면 호흡중추의 자극으로 흉부가 확장돼 무산소 공기를 다시 뱉어내는 동작을 할 수 없게 된다.
-폐 속에 존재하는 산소는 무산소 공기로 점차 희석돼 폐 내 산소분압이 저하되고 폐 속 모세혈관 내 혈중 산소분압은 상승
하지 않은 채로 뇌에 이송된다.
-산소를 다량 소비하는 뇌는 이 순간에 산소분압을 상실하게 돼 활동이 저하 또는 정지된다.
-산소결핍증이 심하게 되면 뇌세포가 파괴돼 재생 불능 상태가 된다.
-대뇌피질의 파괴가 시작된 단계에서는 구급처치로 생명유지가 가능하나 의식회복은 곤란하며, 상태가 가볍다 해도 후유증이 생긴다.
-호흡이 6분 이상 정지되면 소생하기 어렵고, 소생한계 내에서 구조된 경우에 언어·운동장해, 시야협착, 마취, 환각, 건망증, 성격이상 및 노이노제 등의 후유증이 생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