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Safety

배관설계 관리 체계

▣ 배관설계 관리 체계의 개요

 1) 계약서의 설계 요구조건, 역무내역 및 특기사항을 확인하여 설계도면 및 공정표 작성, 진도관리 등 설계업무 전반에 대한 기준, 절차 및 관리기법

2) 설계 예정 공정표 : 설계 예정 공정표는 레벨별로 작성하여 운영하며, 수행역무의 하위단계에서 발생하는 각종 정보가 상위단계로 요약되는 체계를 유지함

– 레벨 I : 주 공정표로 설계, 구매, 시공 및 시운전 등의 일정, 업무를 나타냄

– 레벨 II : 요약 공정표로 전체 공정의 각 단위업무 간에 상관관계를 나타냄

– 레벨 III : 기준 공정표로 각 단위 업무 별로 공정관리의 기준이 됨

3) 설계 진도율 관리 : 전체 공정에 영향을 주는 주공정(Critical Path)을 기준으로 설계 진도율 산정기준을 정하고, 설계 단위 업무별 특성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해야 함

4) 설계 회의 : 설계업무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정기 또는 비정기 회의를 통해 설계업무 전반에 대해 협의하고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야 함

– 월간 공정회의 : 설계 진행 현황에 대해 전체 흐름을 확인하고 점검하기 위해 개최하는 정기 회의이며, 추진계획 등을 월간 수행업무 단위로 작성하여 제출해야 함

– 주간 공정회의 : 설계 진행 현황에 대해 추진계획 등을 주간 수행업무 단위로 작성하여 제출하고, 주요 설계 현안에 대해 협의하는 정기 회의

 특별 공정회의  : 특별한 설계현안이나 문제점이 발생하였을 때 해결방안을 찾고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 개최하는 비정기 회의임

– 회의록 : 설계회의에서 협의한 내용은 회의록으로 작성하여 지속적으로 확인 및 점검하고 미결 처리 안건에 대해서 종결처리 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관리해야 함

▣ 배관설계 예정 공정표

1) 설계 예정 공정표 : 설계업무 전반에 대해 계획 일정대로 설계 역무가 추진되도록 하기 위해 수행 단위 업무별로 구분하여 작성해야 함

2) 예정 공정표의 기능 : 설계업무에 대한 공정 및 진도 관리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가지고 있음

– 설계 수행 단위 업무별 세부일정 제시

– 설계역무의 진도율 산정, 수행업무의 성과분석 및 진도율 예측 기준자료

– 설계분야에 대한 설계공정 및 진도 형황 산정 기준자료

– 시공공정관리 시스템과 연계한 관련 정보의 제공

– 설계업무 수행에 대한 진도 보고 기준자료

– 관련업체 또는 관련부서 간의 수행업무 전, 후 관계 확인자료

3) 예정 공정표 운영 : 설계공정이 계획 일정대로 진행되는지 확인하고 성과품의 작성 및 제출 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설계 예정 공정표를 작성하여 운영해야 함

▣ 배관설계 진도율 관리

1) 설계 진도율을 정확하게 관리하기 위해 진도율 산정 방안을 수립하여 발주자와 협의하고 확정 후에 관련 부서에 배포해야 함 (주간 및 월간 단위로 관리)

2) 설계 진도율 관리 방안 : 설계 업무별 가중치가 반영된 진도율 산정기준을 적용하여 추진계획 대비 수행 실적 달성도를 가중치로 곱하여 설계 진도율을 산정해야 함

3) 설계 진도율 산정기준 : 각 단위업무(Activity)에 대한 가중치(Weight Value)를 설정하고 추진계획 대비 수행실적 달성도에 따라 산정해야 함

– 개요 : 설계 진도율을 산정하기 위한 기본요소는 각 단위설계업무 (Activity)에 대한 적용 일정 가중치(Weight Value), 단위 설계업무의 수행 달성도, 진도율 등으로 구분되어 있음

– 가중치 설정 : 가중치 설정은 성과품 별로 투입 인력(M/H) 기준으로 산정하거나 각 단위 업무량과 설계 난이도에 따라 차등 적용하며, 주요 성과품의 단위 항목별로 가중치를 배분하여 설정함

▣ 배관설계 도서 검토 및 승인

1) 설계도서 검토 및 승인 : 각종 설계 적용 규격 및 표준(Code & Standard), 설계요구 조건 및 충족 요건 등을 반영하여 설계되었는지 검토 및 검증하고 확인하는 단계임

2) 설계도서 구분

– 기본 설계도서 : 기본계획 및 환경 영향 평가서 등을 근거하여 작성하는 설계 도서로서 주기기와 각종 보조설비의 설계업무 및 기술평가에 기본이 되는 설계 도서를 말함

– 상세 설계도서 : 기본설계 도서를 기준으로 하여 상세설계 단계에서 확정된 주기기 및 보조기기의 특성을 반영한 설계도서이며 제작 및 시공에 필요한 모든 설계정보가 반영된 설계 도서임

3) 설계도서 제출용도

– 검토용 및 참고용 제출 : 설계도서가 최종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설계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사전 검토 및 의견조정을 위해 제출하는 것

– 승인용 제출 : 설계도서의 작성이 완료되면 내부 검토 및 검증을 거쳐 발주자의 승인을 득하기 위한 용도로 제출하는 것

– 최종분 또는 공사용 제출 : 설계도서의 공사용 제출은 발주자로부터 최종 승인을 득한 후에 설계도서를 발주자뿐만 아니라 제작업체 또는 시공업체에 제작 및 시공을 위한 용도로 제출하는 것

4)설계도서 검토내용 : 설계도서는 먼저 점검표를 통하여 확인하며, 관련 부서에 회람하여 검토 의견을 접수하고 필요 시 전문가에 의한 설계 검증을 거쳐 제출해야 함

▣ 배관설계 도서 작성 일반

1) 개요 : 설계도서 및 도면을 동일 기준으로 작성하기 위해 작성형식, 표기내용, 용지규격, 기술내용, 표준단위 등에 대해 최소한의 기준을 규정해야 함

2) 적용 범위 : 설계도서의 작성 기준 및 절차에 따라 동일한 방법으로 각종 설계도서 및 도면의 발행과 개정을 해야 함

3) 적용 요건 : 모든 업체는 설계도서, 도면의 작성 기준 및 절차를 동일하게 적용해야 하며, Title Block에는다음과 같은 사항을 표기해야 함 (단위는 SI Unit 사용)

– 도서 및 도면 번호

– 도서 및 도면 제목

– 도서 및 도면의 개정상태, 개정일자

– 프로젝트명, 발주자명, 설계용역 업체명

– 설계도서 및 도면의 작성자/검토자/승인자명 또는 서명란

▣ 배관설계 도면

1) 개요 : 설계도면은 플랜트의 건설을 위한 도면을 지칭하며, 도면 작성 및 관리체계 등에 대한 최소한의 제반 요건을 규정해야 함

2) 적용 범위 : 모든 업체는 설계도면 작성기준 및 관리체계에 따라 동일한 기준으로 도면을 작성하고 발행과 개정을 해야 함

3) 도면 용도별 분류

도면 용도별 분류 : 설계용으로 작성하는 도면을 용도별로 분류하면 3종류로 구분할 수 있음

– 스케치 도면 : 설계개념이나 연구결과를 도서화 한 것 (정식도면 아님)

– 예비 도면 : 발주자와 협의 및 검토용, 입찰용 등으로 발행하는 도면

– 설계 도면 : 기자재의 제작, 설치 및 시공용 등으로 발행하는 도면

▣ 배관설계 외주 관리

1) 개요 : 고품질의 성과품을 작성하기 위해 설계외주를 시행하고, 역무범위 및 책임한계, 업체 선정 및 평가기준 등, 업체 관리 체계와 업무 수행절차에 대해 기술해야 함

2) 설계 외주 처리 시 중점사항 : 외주업체 선정기준을 정하여 최적의 업체를 선정하고, 제출한 설계도서 및 도면의 검토 및 승인 등 외주관리 업무를 철저하게 수행해야 함

3) 설계 외주 관리 방안 :  효율적인 외주업체 관리를 위해 외주수행 계획 및 관리방안을 수립해야 함

– 풀질 관리 방안 : 고품질의 설계 성과품을 적기에 제출하기위해 수립함

– 자원 관리 방안 : 설계인력 교체방지와 우수한 인력의 설계 참여를 위해 수립함

4) 설계 외주 수행 방향 : 설계오류 방지, 품질향상, 설계공정 준수에 역점을 두고 외주업무를 수행해야 함

– 과업지시서의 과업내용에 대한 일관성을 유지 및 설계공정 준수

– 설계기준서의 기술 내용 준수

– 설계 외주업체의 효율적인 인력 관리와 인력운영이 되도록 지원

– 협력업체 담당자에게 책임 및 권한 부여 (주간 및 월간 업무보고 의무화)

– 전문가에 의한 설계검증실시로 설계오류 방지및 품질 향상 지향

– 수평적 상호 협력관계 구축 및 설계 내용 수정 작업 최소화 추진

5) 설계 외주업체 선정 전 평가

– 설계 외주업체 선정 시 고려사항

  • 해당 분야 전문성 : 전문성을 갖추고 수행 실적이 있는 외주업체 선정
  • 설계 용역비 : 설계 예산 범위 내에서 수행할 수 있는 외주업체 선정
  • 용역 수행 능력 : 설계용역 수행능력을 보유한 외주업체 선정
  • 회사에 대한 공헌도 : 수행지침 이행 및 회사의 업무를최우선으로 한 외주업체 선정
  • 발주자 추천 업체 : 원활한 업무수행을 위해 발주자가 추천하는 외주업체 선정

– 설계 외주업체선정 전 서류 평가 : 수행 역무 내역, 품질 향상 계획, 동급 설계용역 수행 실적, 설계 기술인력 및 자격 보유현황, 설계 및 품질 전담 수행 조직, 타 설계 용역업체가 요구하는 서류

– 설계 외주업체 수행평가 및 관리 : 설계 외주업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분기별로 평가를 실시해야 함

  • 설계 성과품의 점검표 활용 및 품질 관리 절차 준수 여부에 대해 평가
  • 설계 성과품의 적기 작성 및 납기준수 여부에 대해 평가
  • 성과품의 설계오류에 의한 도서 수정작업 회수 및 비율에 대해 평가
  • 설계투입 인력의 기술수준 및 투입인력의 교체 빈도수에 대해 평가
  • 과업내용과 설계기준서의 기술 내용 준수 및 이행여부에 대해 평가
  • 설계 지침이나 업무 지시의 적절한 이행여부에 대해 평가

캐시

Recent Posts

VE effect of power plant PLOT PLAN design

The Concept of VE Value Engineering (VE) was initially developed as Value Analysis (VA) by GE.…

4일 ago

발전소 PLOT PLAN 설계의 VE효과

▣ VE 개념 - Value Engineering (VE:가치공학)은 GE가 Value Analysis(VA:가치분석)로 개발하여 미국 국무부가 VE로 명칭을…

4일 ago

Overview of Power Plant Main Facilities and Systems (2)

▣ Steam Turbine Auxiliary Equipment 1) Condenser - Consists of two shells, expanding the turbine exhaust…

5일 ago

발전소 주요 설비 및 계통 개요 (2)

▣ 증기터빈 부속설비 1) 복수기 - 2개의 쉘로 구성되며, 터빈 배출 증기를 튜브측 냉각수와 열교환에…

5일 ago

Overview of Power Plant Main Facilities and Systems (1)

▣ Power Plant Design Overview The layout of the main buildings and equipment of the…

2주 ago

발전소 주요 설비 및 계통 개요 (1)

▣ 발전소 설계 개요 발전소의 주요건물과 기기배치는 발전소의 건설공사와 유지 보수작업을 위해 각 건물 및…

2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