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nical Safety

[공정안전자료] 배관 및 가스킷 명세

▣ 배관 및 개스킷 명세  [별지 제16호 서식]

<별지 제8호 서식>

▣ 분류코드

– P&ID상 배관재질 기호로 기입(예:A1B2)

▣ 유체의 명칭 및 구분

– P&ID상 유체명칭 기호 기입, 유체의 상태 기입

▣ 설계압력 (D-9)

– 최저 설계온도에서 설계압력

– 최고 설계온도에서 설계압력 각각 기입

▣ 배관재질 KS/ASTM 등 분류기호 기입

– KS D 3573 SPA23

– ASTM A335 P11

▣ 배관 재질 코드의 구성

▣ 개스킷 재질 및 형태

– 형식은 일반명으로 기입

– S/W STS 304 W/GRAPHITE FILLER

▣ 비파괴 검사율

– 실제 실시 예정인 검사방법 및 검사율 기입

– 최소 CODE 등에서 정한 율 이상 실시

▣ 후열처리

– 실제실시 여부 기입

▣ 개스킷의 선정지침

▣ 배관의 비파괴검사 대상

▷ 100%

   – 독성물질 취급 배관

   – 동 코드에 규정된 용접 후 열처리가 요구되는 배관

   – 영하 30℃이하의 위험물질 취급 배관

   – 300 ℃이상의 위험물질 취급배관

▷ 상기 이외의 위험물취급 배관

   – 두께가 10mm이하인 배관 : 10%

   – 두께가 10mm초과하는 배관 : 20%

▣ 배관의 후열처리 기준

주 1) ASTM A 240, Gr.429에 상응하는 재질은 621~663℃의 온도범위에서 후열처리 하여야 한다.

     2) 후열처리 후에 가능한 한 신속히 냉각하여야 한다.

     3) 후열처리 후 650℃까지는 시간당 60 ℃이하로 냉각하여야 한며, 650℃이하에서는 취성(Embrittlement)을 방지하기 위하여 빠른 속도로 냉각하여야 한다.

    4) 후열처리 후 320℃까지는 시간당 170℃이상으로 냉각하여야 한다.

    5) 용접 후 14일 이내에 후열처리 하여야 한다. 후열처리 후 430℃까지는 시간당 280℃이하로 냉각하고 430℃부터는 대기중에서 냉각하여야 한다.

    6) 열처리로에서 후열처리 한 경우에는 용접부의 10%에 대해 브리넬 경도를 측정하고, 현장에서 국부적으로 열처리 한 경우에는 용접부 전체에 대하여 경도 측정하여야 한다.

▣ 배관의 용접 전, 열처리 기준

kassy

Recent Posts

비자림

자연이 살아있는 천년의 숲 비자림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비자림)은 한라산 동쪽에서…

1주 ago

천연기념물 제420호, 성산일출봉

제주 동쪽 여행의 필수코스. 4년 전, 제주에 놀러왔는데 도착하고 태풍이 올라오고 있었습니다. 섭지코지의 문어빵을 무조건…

2주 ago

제주 청굴물

청굴물 청굴물이 위치한 동네 이름은 청수동인데, 청수동의 원래 지명은 청굴동이다.  청굴물은 용압대지 하부에서 지하수(용천수)가 솟아나는…

2주 ago

[20년만의] 마카오 – 주하이 여행

마카오는 특별행정구역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지금은 중국과 비자 면제가 되어 있지만, 사실 얼마전까지만 해도 중국에 입국하려면…

2주 ago

외국인 근로자의 우울증

보통 외국인 근로자, 외국인 노동자라고 하면 한국 사람들이 기피하는 3D산업에만 종사하는 외국인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외국인…

2주 ago

배관설계 계획 수립

▣ 개요 및 적용 범위 1) 개요 각 역무 수행 주체와 적용 범위, 설계 추진방향…

2주 a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