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에 따른 화학사고 위험성
정전이 발생하면 몇 초만 이상이 있더라도 석유화학공장 공정이 중단되고 설비 내 원료가 굳는 등 복구에만 수일이 걸리는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초래된다.
뿐만 아니라 이상반응으로 인한 폭발, 반응 중 물질의 폐기에 따른 환경오염 등 근로자 및 지역주민의 안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우리나라 대다수 석유화학단지는 가동을 시작한지 20~40년 이상 되어 사용설비 뿐만 아니라 전력 인프라도 노후화되어 정전 시 설비의 고장 확률이 높다.
최근 하절기 전력대란이 올 것이라는 우려와 함게 전력부족으로 인한 대규모 정전 위험이 높아지고 있어 정전 시 화학사고에 대한 예방대책이 필요하다.
♦정전사고 발생 주요원인
- 여름철 전력수요 급증으로 인한 전기 공급량 부족으로 발생
- 낙뢰, 태풍, 폭설 등의 자연재난으로 인해 발생
- 사업장 자체 전력사용 과부하로 발생
♦정전 발생 가능한 공정사고 유형
−› 이상반응, 반응폭주 및 폭발
- 펌프 불시 작동으로 원치 않는 원료 공급에 의한 방응폭주
- 위험물질의 과도한 방출로 인한 화재 폭발
- 열교환기의 냉각 기능상실로 압력용기 폭발
- 제어시스템의 마비로 밸브의 오작동 및 압력밸브의 작동
−› 원료의 손실 및 환경오염
- 원료 이송 제어 계통 마비로 탱크 내 위험물질이 넘쳐 흐름
- 반응 중인 물질을 일시에 방출·연소 시 불완전연소에 따른 환경오염
- 오염물질 처리장치의 제어 불능으로 유해물질 누출 확산
♦정전사고 예방을 위한 준비사항
−› 위험원 파악 및 등급결정
- 화재·폭발·누출 가능성이 있는 공정 및 설비의 파악 및 등급 결정
−› 정전 및 재송전 시 위험설비 목록 작성
- 정전 및 재송전 시 각 공정설비(펌프, 밸브, 제어장치)별 영향을 명시한 목록 작성
- 정전 시 압축기 정지로 인한 공압시스템의 영향평가 등 정전에 의한 간접영향 평가
- 정전 시의 Fail-safe 설계 및 재송전 시의 안전상태 확인 후 작동기능의 확인
♦정전 유형별 위험감소 대책
◎ 비상시 강제정전(Emergency forced shutdown)에 대한 대책
- 비상계획 절차에 따라 신속한 대처(우선 조치사항 명시)
- 가능한 공장 가동중지 또는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비상대응절차 수행
- 비상대응절차는 정전되기 전까지 우선 조치사항을 먼저 시행하고, 기타 정전이 발생한 이후 절차에 따라 추후 수행
- 전력부하의 중요도에 따라 부하 차단(Load shedding) 정책의 수립·시행
- 계획에 대한 근로자 교육·훈련 시행
◎ 불시 정전에 대한 대책
- 위험장치에 대한 Fail-safe 설계 필요
- 작업자가 Fail-safe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점검표 작성
Ex.) ■ 반응기 공급 라인 및 가열기의 연료공급 라인의 개폐 밸브 위치
■ 비상발전기의 기동상태
■ 스팀 또는 디젤 펌프로의 교체 상태
■ 정전 시 Off 위치에 있어야 하는 스위치
■ 운전상태 확인을 위한 유틸리티 설비
■ 비상운전을 위한 전원 및 소방설비
■ 생산제품을 저장할 창고의 공간 확보
■ 공장의 가동중지를 위한 제어시스템의 장비
■ 재송전 시 공장 가동에 필요한 최소한의 전력설비
◎ 재송전 시 공장가동 안전대책
- 가동 전 모든 프로세스는 안전모드 상태를 유지
- 가동 전 모든 프로세스는 즉시 운전될 수 있는 상태 유지
- 프로세스가 백업시스템으로 변경된 경우 정상운전 상태로 전환
- 가동 전 전원 이외의 스팀, 계장용 에어(Instrument air), 냉각수, 플레어시스템, 소방설비 등 유틸리티 시스템 확인
추가
정전사고 예방을 위해 그 외 알아두어야 할 몇 가지가 더 있다. 순간정전이 있은 경우 바로 재가동을 하면 위험할 수 있으므로 이를 주의하고, 보일러와 가열로의 경우 퍼지 또는 안전운전 절차에 따르지 않을 경우 폭발 또는 누출 가능성이 있다. 또 비상펌프·비상조명·경보설비·계장·제어설비, DCS 등은 비상전원 확보가 필요하다. 압축공기를 사용하는 설비와 엔진펌프의 경우 충분한 용량의 저장탱크 및 연료가 확보되어야 함을 기억해야 한다. 사업장의 전기 관련한 주요설비는 필히 검사 및 시험, 시운전을 통한 기능을 정확히 확인 후 사용해야 안전하다
안전보건공단 자료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