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소 주요 설비 및 계통 개요 (1)

▣ 발전소 설계 개요

발전소의 주요건물과 기기배치는 발전소의 건설공사와 유지 보수작업을 위해 각 건물 및 기기까지 접근용 공간을 확보하며, 터빈건물 전면에 위치한 주변압기는 가스절연 변전소와 연계되어 있고, 보일러 연소 가스는 유인통풍기에 의해 대기로 방출하며, 공해방지 대책으로 전기집진기, 고연돌, 오폐수처리 설비, 비탄 방지설비, 소음방지 및 질소산화물 저감대책 등을 설계에 반영해야 함

발전설비 계통

▣ 주요기기 설명

1) 증기발생기

– 발전용 연료로는 점화 및 기동 시에 경유를 사용하며 정상부하 운전 시 (최대연속 정격 25%이상 부하)는 유연탄 또는 HFO 연료유 사용

2) 터빈발전기

– 발전기는 전폐, 원통형, 동기기이며 냉각방식으로 고정자는 수냉식, 회전자는 수소 냉각식을 적용

– 2극, 60Hz, 3상 수소냉각 방식 적용증기발생기

▣ 주요계통 설명

1) 복수계통 설비

– 저압터빈과 보일러 주급수펌프 구동터빈의 배기가 복수기에서 응축되어 복수기 Hotwell에 모이면 복수펌프를 사용하여 Gland Steam Condenser 및 저압 급수 가열기를 처쳐, 탈기기 및 탈기기 저장 탱크로 이송됨

– 복수기의 진공상태 유지를 진공 펌프 설치됨

– 복수펌프는 수직형으로 정상 운전시 1~2대로 운전(1대는 예비용임)

2) 급수계통 설비

– 급수계통은 탈기기에서 보일러 절탄기까지 급수를 공급하는 계통으로 탈기기 및 탈기기 저장탱크, 고압 급수 가열기, 터빈구동식 주급수 펌프, 급수 승압펌프, 기동용 급수펌프 1대로 구성

– 제1, 2번 저압 급수가열기를 제외한 ㄷ다른 급수가열기의 추기 관로에는 블리더 트립 밸브와 모터로 구동되는 차단 밸브 부착

– 블리더 트립 밸브는 터빈의 과속을 방지하며, 모터구동 차단밸브는 가열기로부터 물의 유입을 방지

3) 순환수 계통설비

– 순환수펌프는 수직 습식 피트형으로 취수설비 지역에 설치

– 호기별 취수설비를 가지며, 취수설비는 Trash Rack, Rake 및 이동스크린으로 구성

– 복수기 튜브에는 해수에 내부식성이 우수한 티타늄 튜브를 주로 사용

– 해양 침전물 등의 세척을 위해 복수기 튜브내로 볼을 주입하는 튜브세정장치 사용

– 복수기에는 수실내의 진공유지를 위한 공기제거장치 설치

4) 보충수 설비

– 보충수 계통은 순수제조설비계통에 의하여 탈염처리하여 순수 저장탱크에 저장한 후 보일러수, 실험실 사용수, 냉각수계통 및 보조보일러의 보충수로 공급

– 순수처리설비는 활성탄 여과기, 양이온, 음이온 교환기 및 혼상이온 교환기 등으로 구성되며, 순수이송펌프에 의해 복수기로 이송

5) 연료유 이송 및 분배계통

– 보일러 연소용 연료는 운반선의 하역펌프에 의하여 연료유 저장탱크에 이송 및 저장

– 연료유 저장탱크의 연료유는 이송펌프로 일상 탱크를 통해 보일러 연소용 버너에 공급

6) 공기압축기 계통

– 발전소에서 사용하는 Compressed Air System은 Instrument Air와 Service Air System으로 구분되며 IA System은 Air Receiver와 Aire Dryer를 거쳐 건조된 압축공기를 말하며 공기식 자동제어기기 및 각종 계측제어 기기 등에 공급

7) 석탄처리설비

– 유연탄 전소 발전소의 석탄전용 부두에서 하역기로 하역된 석탄을 벨트 콘베이어에 의해 옥외 저탄장에 저장 되거나 분쇄실을 거쳐 석탄 저장조로 직접 운반

8) 회(Ash)처리설비

– 보일러에서 생성된 회(Ash)는 Fly Ash와 Bottom Ash로 구분하고, Fly Ash는 별도 취급하여 저장하거나 Bottom Ash와 함께 Ash Disposal Area로 처리

– Fly Ash는 절탄기 호퍼, 공기예열기 호퍼 및 전기집진기에서 비회 저장조로 이송되거나 회 Ash Transfer Tank로 이송되어 Bottom Ash와 함께 Ash Disposal Area로 처리

▣ 전력계통 및 발전소 운전 제어 방식

1) 전력계통

– 각 호기의 소내전력은 기본적으로 해당호기의 발전기 출력에서 공급 받음

– 발전소 가동시 및 소내 보조 변압기 전원 공급 중단 시에는 기동용 변압기로 전원을 공급받아 소내 전력을 공급함

2) 발전소 운전 제어 방식

– 발전소의 운전제어방식은 중앙 집중 제어식 자동운전방식을 채택함

– 25% 이상의 LOAD에서 자동제어가 가능하도록 함

댓글 남기기